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홍콩소비자위원회, 스마트기기 이용 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경고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홍콩소비자위원회, 스마트기기 이용 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경고
작성자 국제거래지원팀 조회수 330 등록일 2019-03-20 10:13:28
분류 국외 출처 홍콩소비자위원회
첨부파일

홍콩소비자위원회, 스마트기기 이용 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경고

 

홍콩소비자위원회 (HKCC)는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전구, 밥솥, 진공청소기, 카메라 등의 스마트 가전기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소비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음을 경고했음. HKCC는 해커들에 의해 자신도 모르게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 사항을 소비자들이 유의해 줄 것을 당부했음:

- 스마트 가전기기를 구매하기 전, 소비자가 직접 비밀번호나 개인정보 보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당 제품이 디자인 되어있는지, 개인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정기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한지를 확인할 것.
- 구매하고자 하는 스마트 가전기기가 보안이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위법적인 사건에 관련된 적이 있는지, 해당 스마트 가전기기의 제조사가 개인정보 도난을 비롯한 불법적인 행위에 관련된 적이 있는지를 확인할 것.
- 대부분의 스마트기기는 임시 비밀번호가 부여된 상태로 판매되기 때문에 해커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소비자는 스마트기기를 구입한 후 자신만이 알 수 있는 고유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하며, 비밀번호는 절대 타인에게 누설하지 말아야 함.
- 일부 스마트기기는 제조사에 의해 보안 수준이 최소한으로 설정된 경우가 있음. 따라서, 소비자는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기 전 보안 설정을 높은 단계로 조정해야 함. 스마트기기가 해킹 당했거나 악성 소프트웨어에 감염되었을 경우, 해당 기기를 정기적으로 리셋시켜야 함. 스마트기기 사용 중, 해킹 공격이 의심된다면, 제조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도움을 요청해야 함.
- 소비자는 스마트기기 제조사가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활용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보안 시스템을 최신의 것으로 유지해야 함. 가능하다면, 스마트기기의 소프트웨어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활성화시켜 놓을 것.
- 대부분의 스마트기기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순간에도 사용자의 활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이 장착되어 있음. 이러한 기능이 불필요하다고 여겨질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기기의 모니터링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거나, 사용 중이 아니라면 해당 스마트기기의 전원을 꺼둘 필요가 있음. 
- 스마트기기를 구입하기 전, 소비자는 해당 기기가 정말로 자신의 일상에 커다란 혜택을 가져다 줄 것인가를 고려해봐야 함. 타인이나 판매자의 말만 믿고 스마트기기를 구입했다가 결국에는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명심해야 함.

 

자료출처: 홍콩소비자위원회 2019.3.14. 보도자료

다음글 홍콩소비자위원회, 항공권 가격 비교 사이트 이용 주의보 발령
이전글 작년 가전·전자·통신기기 해외직구 4천500억 육박…사상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