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피해예방정보

[보도자료] 해외직구식품 안전성 어떻게 검사하나요?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보도자료] 해외직구식품 안전성 어떻게 검사하나요?
작성자 정형우 조회수 1606 등록일 2021-03-02 16:12:01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첨부파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소비자 건강보호를 위하여 수입식품  아니라

    자가소비용으로 국내 반입하는 해외직구 식품에 대해서도 부정물질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자가소비용으로 국내 반입하는 식품은 판매용으로 수입하는 식품과  안전성 검사 의무가 없으나,
식약처가 국내외 온라인 사이트에서 부정물질 함유 개연성이 높은 성기능 개선 표방제품
‘위해 우려식품’을 직접 구매하여 안전성 검사 실시하고 있습니다.

20 자가소비용 해외직구식품 1,630* 구매하여 검사한 결과,
의약품 성분 부정물질 함유 제품 56, 광우병 우피 유래 성분 함유 제품 79,
질식 우려 제품 11, 허용외 색소 사용 제품 2  위해식품 148 제품 국내 반입을 차단했습니다.

    * 기능성 표방 제품(1,174), 영유아용 식품(141) 및 기구(50),시리얼류 및 견과류가공품(90),시서스(34),기타(141)

  능성 표방제품 1,174 제품 중에서는 129 제품(다이어트 76, 근육 강화 17, 성기능 개선 13,

    기억력 강화 14, 염증·류마티스 개선 6, 키성장 1, 눈건강 1, 두뇌건강 1 제품)에서 
      부정물질* 광우병 우피 유래 성분 등이 검출되었고,

    * L-시트룰린(13), 바코바(10), 센노사이드(5), 덱사메타손(4), 빈포세틴(4), 요힘빈(3), 타다라필(2), 이카린(2), 실데나필(2), 카스카다 사그라다(2) 

  어린이용 젤리 45 검사한 결과, 19 제품에서 질식 우려, 국내에서 허용하지 않는 색소 함유,

         광우병 우피 유래 성분 함유된 것을 확인하여 국내 반입되지 않도록 관세청 차단 요청하였습니다. 

  한편, 취약계층 식품인 영유아 분유 다이어트 제품으로 소비자 관심이 높은 시서제품 검사한 결과,

    - 영유아 분유 40 독일산 18*, 스위스산 1* 국내 영양소 기준 적합하지 않았으며,

          시서스 제품 34**  11 금속성 이물 기준 적합하지 않아

       가급적 국내 기준에 적합한 정식 수입식품을 구입하도록 당부하였습니다.

     * 영양소 기준은 국가별로 다르게 정하고 있어 ‘조단백질, 비타민A, 비타민B6, , 칼슘’은 국내 기준보다 낮게,

            ‘조지방, 비타민D, 철’은 국내 기준보다 높게 함유

     ** 해외에서 ‘뼈·관절 건강’으로 표시한 시서스 제품을 국내에서는 ‘다이어트’용으로 일부 광고·판매하고 있음

또한, 식약처는 코로나19 이후 해외직구식품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21에는 구매검사 건수 확대 해외직구식품 안전관리 더욱 강화합니다.

  구매검사 건수 전년 2 수준인 3,000건으로 확대하고, 성기능 등을 광고하는 식품 위주의 검사에서

   다소비 식품, 취약계층 식품, 이슈제품 검사 대상 다양화하고,

      - 인터넷 구매대행업자 등에게 해외직구 위해식품을 판매하지 않도록 안전 책임을 부여하고자 법령 개정을 추진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 소비자 해외직구식품 구매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접근 있도록 모바일 웹을 개발할 예정이며

  해외직구를 통해 구매하는 제품은 정식 수입절차를 거치지 않아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만큼,

      국내 반입 차단 제품인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하였습니다.

    - 부정물질 등이 검출된 위해식품 148 제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식품안전나라(foodsafetykorea.go.kr)
수입식품정보마루(impfood.mfds.go.kr) ’위해식품 차단목록’에서 확인할 있습니다.

다음글 [보도자료] 전 국가 · 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재발령
이전글 [보도자료] 2020년 해외리콜 제품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