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2020년도 동향분석

2020년도 국제소비자상담 동향분석

국제소비자상담 현황

연도별 현황

  • 1372소비자상담센터 및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접수된 2020년 국제거래 소비자상담은 총 26,954건으로 전년(24,194건) 대비 11.4% 증가
    • ‘온라인 국제거래’ 상담은 26,698건으로 전년(23,788건) 대비 12.2% 증가, ‘오프라인 국제거래’ 상담은 256건으로 전년(406건) 대비 36.9% 감소함.
 

최근 5년간 국제소비자상담 접수 추이

2016년 11,118건/2017년 15,684건/2018년 22,169건/2019년 24,194건/2020년26,954건

거래유형별 현황

  • 전체 상담 26,954건 중 온라인을 통한 ‘국제거래 대행서비스’ 관련 상담이 13,157건(48.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온라인을 통한 ‘해외 직접거래’ 12,897건(47.8%), 여행 등을 통한 오프라인 ‘현지 직접거래’ 256건(1.0%) 순으로 나타남.1)
    • ‘해외 직접거래’(12,897건) 관련 상담은 전년(9,523건) 대비 35.4% 급증하여 ‘국제거래 대행서비스’(13,157건)와 비슷한 수준을 보임.
    • ‘국제거래 대행서비스’ 관련 소비자상담 중 ‘서비스 구매대행’은 4,812건(17.9%)으로 전년(2,033건) 대비 136.7% 증가한 반면, ‘물품 구매대행’ 유형은 7,802건(28.9%)으로 전년(10,385건) 대비 24.9% 감소함.
    • ‘해외 직접거래’ 관련 소비자상담 중 ‘서비스 직접구매’는 10,892건(40.4%)으로 전년(7,162건) 대비 52.1% 증가한 반면 ‘물품 직접구매’ 유형은 2,005건(7.4%)으로 전년(2,361건) 대비 15.1% 감소함.
    • 국제거래 소비자상담 전체의 동향을 볼 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서비스 구매’ 관련 상담이 크게 증가함.

1) 온라인을 통한 거래 사실은 확인되나 대행, 직접거래 여부를 알 수 없는 상담은 644건(2.4%)으로 확인됨.

 

거래유형별 현황

거래유형별 현황 - 국제거래 대행서비스 48.8%, 해외 직접거래 47.8%, 기타.미상 2.4%, 현지 직접거래 1.0%

 

전년대비 거래유형 변화

국제거래대행서비스:2019년54.3%, 2020년48.8% / 해외 직접거래:2019년39.3%, 2020년47.8% / 현지직접거래:2019년1.7%, 2020년1.0%

전년대비 거래유형 변화

(단위 : 건, %)

전년대비 거래유형 변화에 관한 표이며 거래유형, 2019년(건수, 비율), 2020년증감비율(건수, 비율), 증감비율에 대해 안내
거래유형 2019년 2020년 증감비율
건수 비율 건수 비율
온라인 국제거래 대행서비스1 합계 13,135 54.3 13,157 48.8 0.2
물품구매 10,385 42.9 7,802 28.9 ▽24.9
서비스구매 2,033 8.4 4,812 17.9 136.7
물품배송 717 3.0 543 2.0 ▽24.3
해외직접거래2 합계 9,523 39.3 12,897 47.8 35.4
물품구매 2,361 9.7 2,005 7.4 ▽15.1
서비스구매 7,162 29.6 10,892 40.4 52.1
기타3 1,130 4.7 644 2.4 ▽36.9
오프라인 현지 직접거래4 406 1.7 256 1.0 ▽36.9
24,194 100.0 26,954 100.0 11.4

1온라인 구매대행 사업자를 통해 물품, 서비스(항공·숙박 등)를 구매하거나, 배송대행 사업자를 통해 물품을 배송 받은 경우

2해외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직접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경우

3사건내용 등을 통해 대행, 직접거래 여부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

4여행 등을 통해 해외 현지에서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경우

상담 품목별 현황

  • 전체 26,954건 중 상세 품목이 확인된 26,533건을 분석한 결과, ‘항공권·항공서비스’가 11,109건(41.9%)으로 가장 많았고 ‘의류·신발’이 4,183건(15.8%), ‘숙박(예약)’ 3,438건(13.0%), ‘IT·가전제품’ 1,564건(5.9%), ‘신변용품’ 1,240건(4.7%)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증가율이 가장 큰 품목‘항공권·항공서비스’(11,109건)로 전년(4,396건) 대비 152.7% 증가하였고, 다음으로 ‘화장품’(223건)이 전년(170건) 대비 31.2%, ‘가사용품’(910건)이 전년(764건) 대비 19.1% 증가함.
      • 코로나19로 인한 국경 간 이동 제한, 항공편 결항 등의 조치로 인해 ‘항공권·항공서비스’ 관련 상담이 급증한 것으로 판단됨.
  • 감소율이 가장 큰 품목은 ‘문화오락 서비스’(337건)로 전년(678건) 대비 50.3% 감소하였고, 다음으로 ‘식품·의약품’(663건)이 전년(1,217건) 대비 45.5%, ‘의류·신발’(4,183건)이 전년(6,435건) 대비 35.0% 감소함.
    •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여행 수요 감소에 따라 현지 액티비티, 콘서트· 스포츠티켓 등과 관련된 ‘문화·오락 서비스’ 관련 상담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됨.*

* ‘20년 1분기 203건 → 2분기 60건 → 3분기 50건 → 4분기 24건

전년대비 품목별 현황

(단위 : 건, %)

전년대비 품목별 현황에 관한 표이며 품목명, 2019년(A)(건수, 비율), 2020년(B)(건수, 비율), 증감(건수, 비율)에 대해 안내
품목명 2019년 2020년 증감률
건수 비율 건수 비율
항공권ㆍ항공서비스 4,396 18.5 11,109 41.9 152.7
의류ㆍ신발 6,435 27.0 4,183 15.8 ▽35.0
숙박(예약) 3,642 15.3 3,438 13.0 ▽5.6
IT · 가전제품 2,184 9.2 1,564 5.9 ▽28.4
신변용품1 1,671 7.0 1,240 4.7 ▽25.8
가사용품2 764 3.2 910 3.4 19.1
취미용품3 749 3.1 801 3.0 6.9
식품ㆍ의약품 1,217 5.1 663 2.5 ▽45.5
서비스기타4 509 2.1 589 2.2 15.7
정보통신서비스5 418 1.8 430 1.6 2.9
문화ㆍ오락서비스6 678 2.8 337 1.3 ▽50.3
화장품 170 0.7 223 0.8 31.2
기타(마스크 등) 999 4.2 1,046 3.9 4.7
23,832 100.0 26,533 100.0  

1가방, 지갑, 귀금속, 시계, 선글라스, 벨트 등

2침구, 가구, 주방용품, 유아용품 등

3서적, 음반, 악기, 장난감, 스포츠·레저 용품 등

4운송, 해외이사, 렌터카, 의료 서비스 등

5게임, 인터넷기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통신(유심)서비스 등

6현지 액티비티, 콘서트, 스포츠경기, 전시회, 박물관, 놀이공원 등

불만이유별

  • 전체상담 26,954건을 불만이유별로 분석한 결과 ‘취소·환급·교환 지연 및 거부‘가 13,645건(50.6%)으로 가장 많았고, ’위약금·수수료 부당청구 및 가격 불만‘ 4,004건(14.8%), ’배송관련‘ 불만 3,038건(11.3%) 순으로 나타남.
  • 증가율이 가장 큰 항목은 ‘취소·환급·교환 지연 및 거부‘(13,645건)로 전년(9,292건) 대비 46.8%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 ‘사업자 연락두절·사이트 폐쇄’(884건) 항목은 전년(767건) 대비 15.3%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 ‘사업자 연락두절 · 사이트 폐쇄’*는 물품 관련 사기의심사이트 사례가 대부분이었던 이전과 달리,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재정 악화로 서비스(항공, 숙박 등) 사업자의 연락두절 사례가 급증하며 증가 추세를 보임.

      *관련 상담 중 항공, 숙박(예약) 품목 건 ’19년 107건(14.0%) → ’20년 420건(47.5%), 전년 대비 292.5% 증가

  • 감소율이 가장 큰 항목은, ‘결제관련’(326건)으로 전년(542건) 대비 39.9% 감소하였고 ‘기타, 단순문의, 미상’은 894건(3.3%)으로 전년(1,191건) 대비 24.9% 감소함.

불만상담 이유별 현황

(단위 : 건, %)

불만이유는 ‘취소‧환급‧교환 지연 및 거부’가 13,645건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고, ‘위약금・수수료 부당청구 및 가격불만’ 4,004건, '배송관련(미배송, 배송지연, 오배송, 파손 등)'이 3,038건 순으로 나타남.
불만이유 2019년 2020년 전년대비 증감률
건수 비중 건수 비중
취소․환불․교환 지연 및 거부 9,292 38.4 13,645 50.6 46.8
위약금·수수료 부당청구 및 가격불만 4,075 16.8 4,004 14.8 ▽1.7
배송관련(미배송, 배송지연, 오배송, 파손 등) 2,965 12.3 3,038 11.3 2.5
제품하자·품질 및 AS 2,666 11.0 2,072 7.7 ▽22.3
계약불이행(불완전이행) 2,410 10.0 1,826 6.8 ▽24.2
사업자 연락두절·사이트 폐쇄 767 3.2 884 3.3 15.3
결제관련 542 2.2 326 1.2 ▽39.9
표시·광고 286 1.2 265 1.0 ▽7.3
기타, 단순문의, 미상 1,191 4.9 894 3.3 ▽24.9
24,194 100.0 26,954 100.0

사업자 소재국별 현황

  • 사업자 소재국이 확인된 12,103건(국내 사업자 제외)을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중국(홍콩)’ 3,028건(25.0%), ‘미국’ 1,730건(14.3%), ‘싱가포르’ 1,396건(11.5%), ‘스페인’ 674건(5.6%), ‘베트남’ 638건(5.3%) 순으로 나타남.

    * 상세내용은 <참고 2. 사업자 소재국별 상세 현황> 참조, 24page

    • 해외 항공·숙박 예약 대행사 트립닷컴이 소재한 ‘중국(홍콩)’ 관련 상담이 전년에 이어 가장 많았음. 이어서 ‘미국’은 호텔스닷컴, 몰테일, 에어비앤비, 위시, 아마존, 애플, 구글플레이 등 다양한 물품·서비스 분야의 주요 사업자들이 소재하고 있어 다수의 상담이 꾸준히 접수됨. 해외 숙박 예약 대행사 아고다가 소재한 ‘싱가포르’ 관련 상담은 전년 대비 소폭(9.4%) 감소함. 해외 항공 예약 대행사 트래블제니오(트래블투비)가 소재한 ‘스페인’(674건)은 전년(149건) 대비 352.3%, 베트남항공, 뱀부항공, 비엣젯항공이 소재한 ‘베트남’(638건)은 전년(277건) 대비 130.3% 상승하며 상담이 크게 증가함.
    • 전년 대비 상담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인도네시아’(621건)로 전년(30건) 대비 1970.0% 급증함. 이는 인도네시아 소재의 가루다인도네시아항공 관련 상담*이 595건으로 전년(27건) 대비 2103.7%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됨.

      * (사례) 소비자는 2019.7.15. 가루다인도네시아항공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발리행 왕복 항공권 1매를 예매하고 62만원을 결제함. 이후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항공편이 결항되어 환급을 요청하였으나 결제 수단으로의 환급이 아닌 바우처 제공만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음.

최근 3년간 국제소비자분쟁 사업자 소재국 현황

(단위 : %)

최근 3년간 국제소비자분쟁 사업자 소재국 현황에 관한 표이며 순위, 2018년(국가, 비율), 2019년(국가, 비율), 2020년(국가, 비율)에 대해 안내
순위 2018년 2019년 2020년
국가 건수(비율) 국가 건수(비율) 국가 건수(비율)
1 싱가포르 2,494(31.3) 중국(홍콩) 2,312(26.5) 중국(홍콩) 3,028(25.0)
2 중국(홍콩) 1,342(16.8) 싱가포르 1,540(17.7) 미국 1,730(14.3)
3 미국 769(9.7) 미국 1,329(15.2) 싱가포르 1,396(11.5)
4 네델란드 723(9.1) 네덜란드 676(7.8) 스페인 674(5.6)
5 필리핀 457(5.7) 말레이시아 284(3.3) 베트남 63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