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거래개선협의회, 연말 쇼핑 시즌을 맞아 온라인 사기 주의보 발령
미국 거래개선협의회 (BBB)는 연말 쇼핑 시즌을 맞아 기승을 부리고 있는 다음의 온라인 사기 유형에 대해 소비자들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음.
개인 정보 유출: 최근에는 많은 상점들이 스마트 카드 리더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상점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 사례는 많이 줄어 들었으나,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서의 사기 행위는 오히려 증가 추세임. 따라서,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을 할 때, 안전한 사이트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가급적 신용카드 (체크카드가 아닌)를 사용할 것을 권장함.
사기 웹사이트: 유명 브랜드나 온라인 쇼핑몰 등 소매 업체의 공식적인 웹사이트를 사칭하는 사기 사이트가 성행하고 있음. 따라서,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을 할 때, 해당 웹사이트의 합법성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함. 특히, 정상적인 웹사이트 주소에 몇몇 단어를 추가한다거나 철자를 바꾸어 혼동을 일으키는 사기 사이트가 유행하고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됨.
가짜 배송 통보: 사기범들은 피싱 메일을 통해 가짜 배송 통보 메시지를 보내기도 함. 소비자들이 이런 피싱 메일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를 클릭할 경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소비자들의 컴퓨터에 악성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됨으로써, 개인정보나 비밀번호 등이 유출되어 심각한 피해로 이어지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
사기 E-Card: 편리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전자카드 (Electronic Card)는 연말 연시를 맞아 서로의 안부를 물을 수 있는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하지만, 보낸 사람이 불분명한 전자카드나, 전자카드를 열어 보기 위해 개인정보의 기입을 요구하는 경우는 주의해야 함. 이러한 유형의 전자카드는 사기일 가능성이 농후하며, 자칫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가능성도 매우 높음.
가짜 Santa 편지: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산타클로스가 보내는 형식을 빌린 성탄 축하 편지는 신뢰성이 검증된 사이트에서도 흔히 활용하는 마케팅 방식임. 하지만, 사기범들은 바로 이점을 이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접근하기도 함. 이러한 유형의 편지를 받았을 경우, bbb.org에 접속하여 해당 편지나 발송업체의 신뢰성을 확인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피해를 예방하는 조치가 필요함.
가짜 위급 상황 통지: 가족이나 친구가 사고를 당했다거나, 경찰에 체포되어 있다거나, 외국 여행 중 병원에 입원했다는 등 위급 상황을 알리는 전화를 갑자기 받았을 경우, 특히 주의해야 함. 다른 가족이나 친구들에 연락을 취해 해당 내용이 진짜인지 확인하기 전에는 돈을 송금하는 등의 행위를 절대로 해서는 안됨.
사기 자선 사이트: 사기범들은 사람들이 연말 연시를 맞아 불우 이웃 돕기와 같은 자선 모금에 관대해 진다는 점을 교묘히 이용하기도 함. 최근에 들어서는 이메일, 소셜 미디어 사이트 또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자선을 가장한 사기 행위가 크게 늘어나고 있음. 따라서, 소비자들은 자선 모금에 참여하기 전, 해당 자선 사이트의 합법성 여부를 반드시 체크해야 함.
가짜 일자리 광고: 연말 연시를 맞아 많은 온라인 쇼핑몰 등 소매 업체와 택배 등 배달 서비스 사업자들이 파트타이머 고용을 늘리고 있음. 하지만, 온라인 상에서 개인정보 제공을 요구하거나, 구직에 필요한 금전을 요구하는 일자리 광고는 사기일 가능성이 짙음. 파트타임 일자리를 찾는 경우, 해당 구인 업체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직접 구인 광고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
비정상적인 결제 요구: 쇼핑 대금을 선불식 체크카드, 기프트카드, 현금 송금, 제3자 결제 등의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결제를 요구하는 사이트는 특히 주의해야 함. 이러한 결제 방식은 추적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제 취소가 거의 불가능함. 아울러, 무료 기프트카드 제공을 알리는 팝업 광고나 이메일 역시 개인정보 유출 피해로 이어지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음을 주지해야 함.
소셜미디어를 통한 선물 광고: 최근에는 각종 소셜 미디어에서 특정 상품 한 개를 구입하면 36개의 선물을 무료로 제공하겠다는 등의 사기 광고가 유행하고 있음. 이는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는 피라미드 마케팅 방식의 또 다른 유형일 뿐만 아니라, 불법적인 행위임을 모든 소비자는 반드시 인식해야 할 것임.
출처: 미국 거래개선협의회 2018.11.15. 보도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