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미국 거래개선협의회 (BBB), 온라인 위조품 판매 사기 조사 보고서 발간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미국 거래개선협의회 (BBB), 온라인 위조품 판매 사기 조사 보고서 발간
작성자 국제거래지원팀 조회수 304 등록일 2019-06-05 10:31:09
분류 국외 출처 미국 거래개선협의회
첨부파일

미국 거래개선협의회 (BBB), 온라인 위조품 판매 사기 조사 보고서 발간


정품을 가장한 위조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사기 사업자들에 의한 불법적 판매 행위가 전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음. 이러한 유형의 사기 거래는 대부분 중국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조직적인 범죄 집단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불법적인 신용카드 거래 처리를 담당하는 대형 사업자도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됨.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인터넷 기술 덕분에 몇 번의 클릭만으로 원하는 상품의 가격을 판매자 별로 비교하고, 상품 이용 후기나 사업자 평판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된 것은 분명 긍정적임. 그러나, 사업자의 사이트나 평판은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이 때문에 갈수록 많은 소비자들이 온라인 사기 거래의 피해자가 되고 있음도 주지의 사실임.

유명 브랜드가 자사 상품의 우수한 품질을 보호하고 브랜드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유명 브랜드의 상표나 온라인 광고 문구를 불법적으로 교묘하게 복제하여 사기 행위를 일삼고 있는 사업자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은 분명 우려할 만한 상황임.

조사 결과, 상당 수의 위조품이 중국으로부터 미국 소비자들에게 직접 배송되고 있으며, 일부는 국내 배송을 위해 미국 현지 배송 센터로 전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프린터 잉크, 헤드폰, 스마트폰 충전기, 운동화, 화장품, 자동차 부속품 등 일상에서 소비되고 있는 거의 모든 품목이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는 위조품의 대상이 되고 있음.

일반 소비자가 특정 사업자의 사이트가 유명 브랜드의 공식 판매 사이트인지 혹은 해당 사업자가 정품을 판매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으며, 예전과는 달리 가격만으로 위조품 판매 가능성을 의심하기도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음. 온라인 위조품 판매 사기 현황과 배경, 유형 및 대책을 점검하기 위해 본 조사가 진행되었음.

 

출처: 미국 거래개선협의회 2019.5.15. 보도자료

 

다음글 온라인 항공권 구매시, 여행자 보험, 렌터카 등 번들 상품 동시 구입이 더 불리할 수도
이전글 호주 연방법원, 불공정 환불 약관을 시행한 Jetstar에 195만 달러 과징금 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