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수출 25.1% 감소, 무역수지는 99개월 만에 적자
(‘20. 4월 수출입 현황)
○ (총 괄) 4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25.1% 감소한 366억 달러,
수입은 15.8% 감소한 379억 달러로, 무역적자 14억 달러를 기록하여 99개월 만에 적자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
2019년
|
2020년
|
4월
|
1~4월
|
3월
|
4월
|
1~4월
|
수 출
(전년동기대비)
|
48,781
(△2.1)
|
181,435
(△6.9)
|
46,353
(△1.4)
|
36,550
(△25.1)
|
166,918
(△8.0)
|
수 입
(전년동기대비)
|
45,047
(3.1)
|
168,844
(△4.1)
|
42,093
(0.2)
|
37,943
(△15.8)
|
159,994
(△5.2)
|
무역수지
|
3,734
|
12,591
|
4,260
|
-1,393
|
6,924
|
○ (수 출)
-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14.9%) 승용차*(△35.6%) 석유제품**(△56.2%) 무선통신기기(△28.2%) 선박(△62.3%) 자동차 부품(△49.5%) 가전제품(△51.0%) 등 감소
* 미국(△21.4%), 캐나다(△53.7%), 독일(△26.0%) 등에 수출 감소
** 중국(△32.2%), 대만(△54.7%), 일본(△62.4%), 호주(△57.1%) 등에 수출 감소
-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중국(△17.9%), 미국(△13.5%), EU(△20.0%), 베트남(△35.1%), 일본(△12.0%), 중동(△20.5%) 등은 감소
○ (수 입)
-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승용차(21.5%) 제조용 장비(7.4%) 비철금속광(36.8%)은 증가, 원유(△53.3%) 기계류(△8.6%) 의류(△21.0%)는 감소
(소비재 : 9.5% 감소) 승용차(21.5%) 사료(0.1%) 등은 증가, 의류(△21.0%) 가전제품(△27.1%) 조제식품(△3.9%) 등은 감소
(원자재 : 24.5% 감소) 비철금속광(36.8%) 의약품(7.8%) 등은 증가, 원유(△53.3%) 가스(△13.4%) 석탄(△17.8%) 등은 감소
(자본재 : 5.9% 감소) 제조용 장비(7.4%) 무선통신기기(4.4%) 등은 증가, 기계류(△8.6%) 메모리 반도체(△26.2%) 등은 감소
-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국(△1.8%), 미국(△9.8%), EU(△5.0%), 일본(△13.9%), 중동(△54.6%), 베트남(△15.6%) 등 감소
(수출입 특이사항)
○ 4월 수출액*은 코로나19, 조업일수 감소(△2일), 국제유가 급락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1% 감소, 일평균 수출은 18.3% 감소를 기록
*수출(%): (’19.12)△5.3 → (’20.1)△6.6 → (2) 3.6 → (3)△1.4 → (4)△25.1
○ 4월 수출 중량*(순중량)은 석유제품, 선박을 중심으로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11.0% 감소
*수출중량(%): (’19.12)0.7 → (’20.1)△10.1 → (2)6.6 → (3)13.0 → (4)△11.0
○ 국가별 일평균 수출액은 미국, EU, 베트남* 등이 감소한 가운데, 중국**은 4월 들어 감소폭 축소
* 일평균 수출(%):(미국)△5.7, (EU)△12.7, (베트남)△29.2, (일본)△4.0
** 중국 일평균 수출(억 달러, %):(’20.1)4.5(△0.6) → (2)3.9(△21.8) → (3)4.5(△12.5) → (4)4.6(△10.4)
○ 원유 수입단가*는 국제유가의 큰 폭 하락으로 전년 동월 대비 45.9% 하락
* 수입단가($/배럴):(’19.12)67.1→(’20.1)70.4→(2)67.9→(3)57.7→(4)38.1
수입단가증가율(%):(’19.12)△3.4→(’20.1)12.5→(2)6.3→(3)△14.3→(4)△45.9
※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1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 자세한 내용은 관세청 홈페이지(www.customs.go.kr) 및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