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보건기구
(WHO) |
WHO 국제 백신안전 자문위원회는 존슨앤드존슨/얀센 코로나19 백신 관련 성명을 발표함.
위원회는 미국의 감시 데이터를 검토해 권고사항을 발표했음.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해당 백신은 이점이 혈소판 감소증 동반 혈전증(TTS) 위험보다 여전히 큼.
▲ 5.7. 기준으로 미국 FDA와 CDC는 백신 접종 8백만 여회 중 TTS 부작용 28건을 검토했음.
부작용은 접종 3~15일 후에 18~59세 연령대에서 발생했음.
mRNA 백신은 24,000만 회 이상 투여했지만 TTS 케이스는 파악되지 않았음.(아데노바이러스 매개 백신에서만 발생)
▲ 의료진과 백신 접종자를 대상으로 부작용에 관해 충분한 교육을 제공해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함.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막스앤스펜서는 대추야자 Stuffed Medjool Date Selection 제품이 A형 간염 오염 가능성이 있어 리콜함.
2021.4. Sainsbury 브랜드 Taste the Difference Medjool Dates도 같은 이유로 리콜한 바 있음.
A형 간염은 감염된 사람의 대변을 통해서 확산되며, 주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질병임.
해당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제품을 섭취하지 말고 구매처에 반품한 다음 전액 환불을 받도록 함.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Which?가 다회용(semi-reusable) 마스크 12개 제품을 테스트한 결과,
일부 제품은 1회용 마스크에 맞먹는 입자 차단 효과를 보였음.
하지만 아디다스 마스크를 비롯한 일부 제품은 성능이 떨어져 제품별로 품질에 차이가 있었음.
4개 제품은 실제 성능이 포장에 표기한 차단율에 미치지 못했음.
다회용 마스크의 경우 최소 성능에 대한 자율 합의사항이 마련되어 있지만,
Which?는 더욱 엄중한 기준을 확립해 소비자가 최소 차단율과 성능을 확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캘리포니아 의회는 유아용 제품에 과불화화합물(PFAS)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킴.
부스터 시트, 기저귀 교환 패드, 아기 매트리스, 놀이용 울타리(playpen), 카시트 등의 제품이 해당됨.
제품의 PFAS 코팅은 벗겨져 먼지로 유입돼 어린이가 들이마시거나 삼킬 수 있음.
또 물건을 입으로 빠는 영유아가 물질을 바로 삼킬 수도 있음.
PFAS는 수천 개의 화학물질 그룹으로 발암 위험 증대, 태아 발달에 피해, 백신 효과 감소를 유발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Randall Foods사는 제조상 문제로 보툴리누스 중독증 위험이 있는 콩 통조림 160만개 전체를 리콜함.
온도 측정기 고장으로 적정 안전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가공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임.
보툴리누스균은 인체 신경계를 공격할 수 있음.
증상에는 복시(하나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것), 시야 흐림, 눈꺼풀 감김, 발음 불분명, 삼키기 어려움, 근력 약화 등이 있음.
제품으로 인한 질병 보고는 받은 바 없음.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구매처에 반품한 다음 전액 환불을 받거나 폐기하도록 함.
(*해당 제품은 국내에 유통되는 것으로 추정되어 CISS에 접수 후 조치 중임.)
|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
OPSS는 소형 고강력 자석 삼킴 사고 주의보를 발령함.
특히 어린이와 젊은 연령층의 부상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OPSS는 온라인 플랫폼 등 사업자를 대상으로 안전 요건을 위반한 소형 자석 제품은 판매 중단하며,
자석이 들어있는 제품의 주의문구 표기를 보장하라고 촉구함.
소비자들에게는 사고 예방 조치를 알리고, 사고 발생 시 치료를 즉시 받으라고 권고함.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캐나다 보건부는 네오니코티노이드(니코틴계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가
인체 건강 및 환경에 끼치는 위험에 대한 재평가 결과를 발표했음.
환기 등 추가적인 위험 경감 조치를 취하면서 이미다클로프리드 제품을 사용할 경우 다수가 현재 인체 건강 및 환경 보호 기준을 준수한다고 함.
그러나 옥수수 종자 처리 등 환경 위험 우려가 있는 특정 용도의 사용은 취소됨.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CDC가 새로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2009~2018년 기간 주로 성인층에서, 자전거로 인한 사망자가 증가했음.
자전거 헬멧 착용을 요구하는 정책은 두부 손상을 20~55% 감소시켰음.
CPSC는 최근 2020.3.~9. 기간 응급실 처치 부상의 코로나19 영향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자전거로 인한 부상은 1% 증가한 반면, 40세 이상 사용자에서는 21%, 70세 이상 성인에서는 39%나 증가하였음.
CPSC는 소비자에게 두부 손상 위험을 줄이려면 헬멧을 착용해야 한다고 재차 당부함.
헬멧은 낙상 또는 충돌 사고 시 충격 에너지를 대거 흡수해 두개골과 뇌를 보호해줄 수 있음.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FDA는 백신 접종 후를 비롯해 코로나19로 인한 면역을 평가하기 위해 SARS-CoV-2 항체 테스트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함.
현재 승인한 코로나 항체 검사는 해당 목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음.
백신은 특정 바이러스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유도하는데, 테스트가 해당 항체 유형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음성으로 나올 수 있음.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FDA는 크라톰 함유 불량 식품보조제 207,000여 개를 압수했음.
플로리다주 Atofil 업체가 제조해 Boosted Kratom, The Devil’s Kratom, Terra Kratom, Sembuh, Bio Botanical, El Diablo 브랜드명으로 판매되는 제품임.
경제적 가치는 약 130만 달러에 달함.
크라톰은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섭취 시 호흡 억제, 구토, 신경과민, 체중 감소, 변비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또 크라톰은 마약 및 각성제 효과가 있어 금단 증상이 발생할 수 있음.
|
미국
환경보호청
(EPA) |
EPA는 식수 처리가능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과불화화합물(PFAS)의 참조 정보 및 처리 옵션을 추가했음.
11개 화학물질의 처리 정보를 추가했으며(총 37개 정보 게시), 38개 참조 정보를 새로 추가했음.
이는 주, 지역 정부, 식수 시설에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려 PFAS를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됨. |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미국 내 여러 주에서 뒤뜰에서 기르는 가금류로 인한 살모넬라 감염증이 발생해 CDC에서 조사 중임.
43개 주의 163명이 감염되었으며 34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음. 사망자는 없었음. 1/3은 5세 미만임.
실제 인원은 보고된 인원보다 훨씬 많을 수 있음. 병원 치료나 살모넬라 검사를 받지 않고 회복한 인원이 많기 때문임.
주의사항은 ▲ 가금류나 가금류 물품을 만진 후에는 20초간 손을 씻음. ▲ 가금류와 가금류 물품은 집 외부에 둠.
▲ 5세 미만 어린이가 가금류나 사육장을 만지지 못하게 함. ▲ 새에 뽀뽀하거나 껴안지 않음.
|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미국 교통부는 인플루언서(유튜버 Jason Fenske, Engineering Explained 채널 운영자)를 활용해
대중에게 신차의 여러 첨단 운전자지원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는 안전 영상 시리즈를 발표했음.
▲ 4가지 충돌 사고 예방 기술 ▲ 후방 긴급 자동 제동 ▲ 사각지대 경고 ▲ 차선유지보조
▲ 자동 하이빔, 사각지대 경고, 전방충돌경고, 자동긴급제동, 보행자 자동긴급제동을 요약 소개하는 영상임.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미얀마산 녹두 2종에서 기준치를 5배 이상 초과하는 티아메톡삼 농약이 검출돼 해당 식품 및 단순 가공품의 검사 명령을 내렸음.
검출량은 일일 허용 섭취량 및 급성 독성 참고량을 참고할 때 미미한 수준이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됨.
|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어린이 식품안전정보 키즈 박스 <식품 알레르기>편을 게시했음. 식품 알레르기의 정의와 주요 증상,
7대 알레르기 유발 식품과 주의사항 내용을 수록함.
|
호주
뉴사우스
웨일즈
식품청
(NSW) |
2021.5.23.~29.은 식품 알레르기 주간으로, 식품업체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알레르기 관리 역할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함.
올해 주제는 식품 알레르기와 외식임. 올해 2.25.부터 식품 서비스 분야에서 식품 표시사항에 일반 식품 알레르기원을 표기하도록 요건을 마련해,
사람들이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쉽게 찾아 안전한 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하였음.
|
호주
의약품청
(TGA) |
TGA는 탈수 증상을 완화하는 Hydralyte Strawberry Kiwi Effervescent Electrolyte 정에
홍화(Carthamus tinctorius, safflower) 성분이 함유돼 10개 배치(제조 단위)를 리콜함.
함량은 임신 기간에 사용하면 위험을 초래하는 수준임.
해당 제품은 홍화를 비활성 성분으로 함유할 경우 의무적으로 표시해야 하는‘임신했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사용하지 마시오’라는 주의문구가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