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705-210709)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705-210709)
작성자 신동은 조회수 649 등록일 2021-07-16 13:28:07
분류 국외 출처 한국소비자원 위해감시시스템(CISS)
첨부파일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세계
보건기구
(WHO)
■ mRNA 코로나 백신 부작용 관련 최신 지침 발표
WHO 국제 백신안전 자문위원회의 코로나19 하위위원회는 mRNA 코로나19 백신의 심근염(심장 근육의 염증) 및 심낭염(심장의 바깥면을 싸고 있는 심막의 염증) 관련 최신 지침을 발표했음. 현재 정보에 따르면, 백신과 해당 부작용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을 수 있음. 이 부작용은 심각한 질환을 초래할 수 있지만 보통은 경미하고 치료가 잘 되는 편임. 부작용은 2차 접종을 받고 며칠 후, 젊은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빈도가 높았음. 위원회는 백신이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입원 및 치사율을 줄이는데 이익이 위험보다 크다며, 관련 권고사항을 발표했음.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아기 슬링 및 캐리어 온라인 구입 시 유의사항 안내
영유아용 슬링이나 캐리어를 온라인으로 구입할 때 가품을 구입하지 않기 위한 주의사항을 안내함. Which? 설문에 따르면 아기 슬링이나 캐리어를 구입한 부모의 31%가 속아 오픈마켓에서 가품을 구입한 적이 있다고 함. 가품은 유명 브랜드 제품을 모방한 것으로, 안전 기준을 준수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영유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독일
연방위해
평가원
(BfR)

■ 콩 생식 금지 주의보 발표
2020년 중독정보센터에 그린빈 섭취 관련 민원이 상당히 증가했음. 콩에는 렉틴 그룹에 속하는 단백질인 파신(phasin)이 들어있어 최소한의 섭취만으로도 건강에 해로울 수 있음. 이 물질은 고온에서만 파괴되므로 콩을 먹을 때는 찜과 같은 간편 조리 방식보다는 충분히 가열해 섭취하도록 권장함.

영국
식품표준원
(FSA)

■ 위해성 평가 사안 및 규제 제품 신청 내용 공표
영국의 식품 및 사료의 안전을 평가하는 FSA와 스코틀랜드 식품표준원이 검토 중인 위해성 평가 사안과 규제 제품 신청 내용을 공표함. 위해성을 검토 중인 사안에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 수입식품 관리, 다이옥신 및 폴리염화바이페닐(PCB), 과불화화합물(PFAS), 식품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 사용 등이며 식품첨가제, 추출 용제 등 항목별로 신청 받은 규제 제품 목록을 제공함.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액상 비타민D, 복용량 오기 및 안전 정보 누락돼 리콜
Pur Naturals는 Martin Clinic Liquid Vitamin D 제품이 라벨에 복용량이 잘못 표기되어 있고 안전정보가 누락돼 리콜함. 잘못 표기된 복용량대로 섭취할 경우 비타민D를 과다 섭취해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특히 임산부는 비타민D를 과다 섭취하면 칼슘 수치가 높아져 신생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또한 해당 제품에는 12세 미만 어린이 대상 사용 금지 정보, 혈액 희석제 섭취 시 의사와 상담하라는 내용을 비롯해 중요한 주의문구가 빠져있음.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미승인 및 처방약 성분을 함유한 의약품 압수 조치
캐나다 보건부는 Tokyo Beauty 매장에서 여드름젤, 항생제 크림, 안약 등 여러 미승인 및 처방약 성분을 함유한 의약품을 적발해 제품을 압수하고 주의보를 발표함. 해당 제품은 사용 시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건강이 우려될 경우 의사와 상담하도록 함. (*Santen Sante Beauteye Contact, Santen Sante FX Neo, Santen Sante PC 제품이 국내에 유통 가능한 것으로 확인돼 CISS에 접수해 조치 중임)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사고 발생한 거주용 엘리베이터 업체 티센크루프사 고발
CPSC는 거주용 엘리베이터의 틈에 끼여 3건의 어린이 부상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추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티센크루프사를 고발했음. 엘리베이터 문과 집안 내 출입문 사이 공간이 많을 경우, 어린이가 그 공간에 있을 때 다른 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면 엘리베이터가 움직이며 어린이가 중상을 입거나 사망할 수 있음. 티센크루프 거주용 엘리베이터로 인해 어린이 1명이 사망하고, 어린이 1명은 영구 장애를 입었으며, 어린이 1명은 압궤 손상을 입고 입원 치료를 받은 사고가 발생했음. 티센크루프가 자발적 리콜 시행을 거부해 취하는 조치임.

미국
식품의약국
(FDA)

■ FDA, CDC와 백신 부스터샷* 관련 합동 성명 발표
FDA와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백신 부스터샷에 대한 합동 성명서를 발표했음. 현재로서 백신 접종을 완료한 미국인은 부스터샷이 필요 없음. FDA, CDC, 미 국립보건원은 부스터샷 필요 여부와 시기를 고려하기 위한 검토 절차를 진행 중임.
*백신 효과를 높이고자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추가접종’을 시행하는 것

일본
소비자청
(CAA)

■ 2021년 어린이 사고 방지 주간 홍보 : 익사 사고 예방
2021.7.19.~7.25.은 어린이 사고 방지 주간으로 올해는 익사 사고가 주제임. 가정 내 익사 사고에 주의하고, 바다, 강, 저수지 같이 장소별 주의사항을 안내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방사성 세슘 기준치 초과 식품 감시 결과 공표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공표함. 미야기현산 및 토치기현산 코시아부라 산나물, 고비, 죽순 2종, 후쿠시마현산 멧돼지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뉴질랜드
1차 산업부
(MPI)
■ Countdown 포장 샐러드,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
감자, 달걀, 베이컨이 들어간 Countdown 브랜드 포장 샐러드가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전국적으로 리콜함. 현재까지 업체와 당국이 접수받은 질병 정보는 없었음.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해당 식품을 폐기하거나 구매처에 반품하고 전액 환불을 받게 됨.
다음글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글로벌 위조상품 교역 보고서 발간
이전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628-21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