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해 당기관 |
|
주 요내용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 네이절 스프레이, 코로나 바이러스 사멸 광고해 마케팅 내용 수정 및 판매 중단
코로나균을 사멸한다고 광고한 Viraleze, Taffix, ViroStop 네이절 스프레이 제품은 마케팅 내용을 수정하고, 판매를 중단했음. 해당 제품은 약국과 온라인을 통해서 판매됨. 산화 질소 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네이절 스프레이는 현재 임상 시험 중인 단계임.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 치아미백제품, 과산화수소수 허용치 110배 함유해 화학적 위험으로 리콜
Ivismile teeth whitening kit는 구강용 제품에 허용된 과산화수소 허용치 0.1%의 110배인 11%를 함유하고 있어 잇몸 화상, 치아 영구 손상 등 심각한 화학적 위험이 있어 리콜함. 해당 제품은 사업자 주소, 배치번호, 수량 등도 표기하지 않았음.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제품을 보관하도록 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 뉴트로지나/아비노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 벤젠 검출돼 리콜
존슨앤드존슨사는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 14개 제품에서 발암물질 벤젠이 소량 검출돼 자발적 리콜을 발표하였음. 해당 제품에 벤젠 성분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제품 라벨에도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제조 과정에서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벤젠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백혈병 및 기타 혈액암 발생 위험이 있다고 함. 업체는 소비자에게 해당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폐기하라고 권장하며, 유통업체와 소매업체는 제품 판매를 중단하고 제품을 회수하고 있음.
|
유럽
식품안전청
(EFSA) |
■ 독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홍보 인포그래픽 제공
독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OpenFoodTox를 소개하는 인포그래픽을 제공함. 해당 데이터베이스는 위해성 평가자 및 관리자, 이해관계자가 이용할 수 있는 툴로 식품 및 사료의 5,550개 이상의 화학물질, 2,200건의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영국
식품표준원
(FSA) |
■ 고양이 범혈구감소증 증가 관련 최신 정보 발표 : 원인 조사 중
리콜한 제품 중 소수의 시료에서 곰팡이독소를 발견했으나, 곰팡이독소는 일부 사료 및 식품에서 널리 발견되는 것으로 그 자체로는 범혈구감소증을 유발한다고 볼 수 없음. 사업자, FSA를 비롯한 규제기관은 검사 시료 확대, 가능한 독소 검사를 확대하는 등 조사를 계속하고 있음. 고양이를 키우는 소비자는 리콜 제품 목록을 확인하고, 구입한 제품이 리콜 대상이면 고양이에게 사료를 그만 먹이고 구매처에 제품을 반품하도록 함.
|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
■ 여름 휴가철 용품 구입 관련 안전 지침 제공
OPSS는 휴대폰 충전기, 선글라스, 풀장용 히터 등 여름 휴가용 물품을 구입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을 지침으로 제공함. 제품 가격 비교 후 저가 제품일 경우 주의, 제품 주소 확인, 표준화된 로고, 폰트, 색상, 스펠링, 문법, 안전 인증 등의 제품 점검 등을 권장하고 있음.
|
아일랜드
식품안전청
(FSAI) |
■ 로커스트콩검 함유 제품, 일부에서 살충제 검출돼 제품 회수 관련 권고 발표
유럽에서 로커스트콩검(E410)을 첨가제로 사용한 일부 식품이 살충제인 에틸렌옥사이드에 오염된 사실이 밝혀져 FSAI는 다른 EU 회원국과 함께 예방 차원에서 관련 제품을 회수하고 있음.
로커스트콩검은 캐롭나무 씨앗에서 추출한 식품성 검(gum)으로 주로 액체의 점성을 증가시키는 증점안정제로 쓰는 첨가물임. 아이스크림, 시리얼, 육류제품, 디저트 등 다양한 식품에 승인된 성분임.
에틸렌옥사이드에 오염된 식품은 섭취 시 건강에 급성 위험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장기 섭취할 경우 건강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노출을 최소화하고 오염된 식품은 시장에서 제거해야 함.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 숙박용 주택 관련 안전 주의보 발표
코로나19 제한조치가 상향되면서 올여름 미국인 수백만 명이 여행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숙박용 주택 관련 주의사항을 발표함. 구체적으로 연기 감지기, 일산화탄소 경보기, 소화기가 있는지 살펴보고, 풀장과 주거용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점검하도록 함.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 아마존이 결함 제품의 리콜 책임을 인정하도록 행정고발
CPSC는 자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제품을 리콜하는 법적 책임을 지라며 아마존을 행정고발함. CPSC는 아마존에 해당 제품 판매를 중단시키고 CPSC와 협력해 제품을 리콜하며, 리콜 사실에 대해 구매자에게 바로 통보하며 전액 환불을 제공하라고 요구함. CPSC가 결함 제품으로 거론한 제품은 일산화탄소 감지기 24,000개, 가연성 원단 안전 표준을 위반한 어린이 잠옷 다수, 침수보호장치가 없는 헤어 드라이어 40여만 개 등임.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 얀센 코로나백신, 의료진 및 환자 대상 팩트 시트에 길랭바레증후군 부작용 위험 증가 정보 추가
FDA는 의료진 및 환자 대상 얀센 코로나백신의 팩트 시트에 길랭바레증후군 부작용 위험 증가 정보를 추가한다고 발표했음. 길랭바레증후군은 신체의 면역계가 신경세포를 손상시키는 신경성 장애로 근력 약화를 초래하며 매우 심각한 경우 마비를 일으키기도 함. 백신부작용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얀센 백신을 약 1,250만회 접종한 후 100건의 길랭바레증후군 부작용 사례가 보고됨. 이중 95명은 상태가 심각해 입원 치료가 필요했으며 1명은 사망했음.
|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 BrightFarms 브랜드 Sunny Crunch 샐러드의 살모넬라균 감염증 주의보 발표
2개주의 8명이 살모넬라 감염증에 걸렸는데, BrightFarms 브랜드 의 Sunny Crunch 샐러드가 원인일 수 있음. 입원치료가 필요한 건수와 사망자는 없었음. 병원 치료나 살모넬라균 검사를 받지 않고 회복한 사람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인원은 더 많을 수 있음. 조사관들은 추가로 오염된 제품이 있는지 확인 중이며, CDC는 소비자와 업체에게 해당 제품을 섭취, 판매, 서빙하지 말라고 권장함. |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 화재 위험 있는 쉐보레 볼트 차량 관련 소비자 주의보 발표
NHTSA는 2017~2019년식 쉐보레 볼트 차량 차주들에게 화재 위험이 있으니 해당 차량은 밤새 충전하지 말고, 충전 후에는 집이나 건물에서 떨어진 실외에 주차하도록 촉구함. 2017~2019년식 쉐보레 볼트 차량 50,932대가 대상으로, 해당 차량은 뒷좌석 하단의 고압 배터리 팩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 리콜함.
|
일본
국민생활
센터
(NCAC)
|
■ 안감에 메시 원단을 사용한 남아용 수영복 관련 주의보 발표
메시 원단을 이용한 수영복에 남아의 피부가 끼여 생식기 주변 피부의 손상을 입는 사례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음. 수영복 내부 소재로 메시 형상 소재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업계 자체 기준도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 대상 주의보를 발표함. 소비자는 내부에 메시 원단을 사용한 수영복을 아이에게 입히지 말고, 메시 원단에 피부가 끼인 경우, 무리하게 빼려고 하지 말고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도록 함.
|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 식중독 예방과 가열 조리 (닭고기편) 동영상 게시
FSC 공식 유튜브 채널에 식중독 예방과 가열 조리(닭고기편) 영상을 게시했음.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해 안전한 닭고기 요리 방법과 주의사항을 해설하는 내용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