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기관 |
주요내용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 브롬튼 전기 자전거 자발적 리콜 현황 : 55% 완료
브롬튼은 2020.5.~2021.2.에 제조했거나 펌웨어 업데이트를 한 모든 전기 자전거를 대상으로 자발적 리콜을 발표했음. Which?측이 리콜과 수리 대수를 문의한 결과 7,262대가 리콜 대상이며 55%인 3,997대의 작업을 완료했다고 답변했음. 2021.9.1.까지는 www.brompton.com/recall 페이지에서 무상으로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받을 수 있으며, 이후로는 www.brompton.com/about-us/contact-us에 바로 연락해 조치 받을 수 있음.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 Kitsound Funk 25 무선이어폰, 케이스 과열 위험으로 리콜
Kitsound Funk 25 무선이어폰은 충전케이스가 과열돼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짐. 구입 시 포함된 USB-C 충전 케이블은 문제가 없으나, 입력 전압이 5 볼트 이상인 충전원으로 충전할 경우 열이 발생함. 해당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제품을 반품하고 전액 환불을 받게 됨.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 Which? 테스트 불합격했던 유아용 안전문 안전성 개선
Which? 검사 결과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구입 금지 제품으로 지정되었던 유아용 안전문 제품 2개(Dreambaby Che-lsea, Liberty gate)가 압입 끼움식(pressure-fit)에서 흡착컵과 나사 고정식으로 설치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안전성을 개선했음. 이 외에 관련 제품 정보도 제공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 무선 장치의 고주파 방사 노출 기준 현격히 낮출 필요
환경건강저널에 발표된 환경실무그룹의 동료심사 연구에 따르면 휴대폰, 태블릿 PC 등 무선 장치가 방출하는 고주파 방사에 대한 아동 및 성인의 노출 기준은 현재 연방 기준보다 수십배에서 수백배까지 낮춰야 한다고 함. 연방통신위원회(FCC)의 기준은 지금처럼 무선장치가 일상화되기 전에 지정한 것으로 실정에 맞지 않음. EWG는 2018년 국립독성학프로그램의 연구 결과에 기반해 아동 대상 전신 전자파 인체흡수율 기준은 FCC 기준보다 200~400배 낮은 0.2~0.4 mW/kg, 성인 대상 기준은 연방 기준보다 20~40배 낮은 2~4mW/kg를 권장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리스테리아증 위험 있는 머핀 리콜
Give & Go Prepared Foods는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수십 개 이상의 포장 머핀을 리콜한다고 발표했음. 리스테리아균은 어린 아동, 고령자, 임산부, 면역저하자에게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음. 해당 식품으로 인해 발생한 질병은 보고된 바 없음.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 소비자 대상 코로나 백신 정보, 한국어 등 5개 언어 추가 제공
코로나19 백신 관련 소비자 정보를 한국어, 스페인어, 중국어, 베트남어, 타갈로그어 등 5개 언어로 추가 제공함. 주요 내용은 FDA가 긴급 사용을 승인한 화이자, 모더나, 얀센 백신의 환자 대상 정보와 질의응답 내용 등임.
|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 GM, 2017~2019년식 쉐보레 볼트 대상 리콜 새로 발표
GM은 2017~2019년식 쉐보레 볼트 차량의 새로운 리콜 및 안전 지침을 발표했음. 2020.11.에 처음 발표한 리콜 차량 과 2021.5.에 업데이트한 정보에 해당되는 차량을 합한 50,932대가 대상임. 해당 차량은 실외에서 건물과 떨어진 곳에 주차하며, 밤새 충전하지 않아야 한다는 지침 외에 추가로 발표한 지침은 다음과 같음. ▲ 내리막길 설정 모드(Hilltop Reserve mode, 2017~2018년식)나 목표 충전 레벨 모드(2019년식)를 이용해 최대 충전 용량을 90%로 설정 ▲ 운행 후에는 매번 배터리를 충전하고 가능하면 주행예상거리를 약 113km 이하로 떨어뜨리지 않음.
NHTSA는 임시 수리를 받은 차량 화재 1건, 수리를 완료한 차량 화재 2건 정보를 입수하였음. GM사는 리콜 차량의 배터리 모듈을 교체해줄 것이며 조치를 완료할 때까지 차주는 상기 조치를 이행해야 함.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 코시아부라 산나물에서 허용치 초과 방사성 검출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이와테현산 코시아부라 산나물에서 허용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
일본
경제산업성
(METI) |
■ 인터넷 거래 시 제품 안전성 확보 방안 자료 업데이트
인터넷 거래 시 제품 안전성 확보 방안 자료를 업데이트했음. 사업자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제품안전관계법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인포그래픽을 제작해 배포했음.
|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 어린이 식품 안전 정보 키즈 박스 <농약 1> 편 게시
어린이 식품 안전 정보 키즈 박스 <농약에 대해 알아보자> 편을 게시했음. 총 4편 시리즈 중 첫 번째로 농약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농약의 건강 및 환경에 대한 영향 내용을 간략하게 수록하고 있음.
|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 식품 유해물질 규정 개정안, 2023년부터 단계적으로 실시
식품 유해물질 규정 개정안(2021)이 7.14. 의회를 통과했음. 산업용으로 제조한 트랜스지방, 곰팡이독소 등 유해물질 규정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트랜스지방 관련 부분경화유 금지 관련 조항은 2023.12.1., 그 외 식품의 유해물질 최대 허용치 관련 조항은 2023.6.1.부터 적용됨. |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 여름철 식품 안전 주의보 발표
2021년 여름철 식품 감시 프로그램 결과를 발표했음. 마트, 식당, 식품 공장, 온라인 매장 등에서 수거한 2,002개 시료를 조사한 결과, 3개를 제외한 99.85%가 기준을 충족했음. 부적합 시료는 항생제 클로람페니콜이 검출된 가무락(venus clam, 백합과에 속하는 조개), 조개, 동양 대합이었음. 덥고 습한 날씨로 박테리아 증식이 우려되므로 식품 안전 및 환경 위생에 더욱 주의하도록 당부함.
|
호주
의약품청
(TGA)
|
■ 화이자 백신 제품 정보에 심근염 및 심낭염 안전정보 추가
의료진 대상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정보에 심근염 및 심낭염 관련 안전 정보를 추가했음. 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에게서 매우 드물게 해당 부작용이 발생했음. 주로 2차 접종 후 14일 이내에 발생했으며, 젊은 남성의 발생 빈도가 높았음. 일반적으로 코로나19 감염이 심장에 끼치는 영향이 백신 접종 부작용 사례보다 많으며 중증도도 더 높다며, 접종 이익이 부작용 위험보다 크다고 함.
|
호주
경쟁소비자
위원회
(ACCC) |
■ 등받이가 경사진 영유아용 수면 제품 안전성 관련 의견 수렴 중
ACCC는 등받이가 경사진 영유아용 수면 제품의 안전성을 검토한 후에 대응 방법에 관한 의견을 8월 16일까지 수렴하고 있음. 해당 제품은 등받이의 경사 및 곡률(휨 정도), 영유아가 눕는 표면이 부드러움 등으로 질식할 위험이 있음.
|
뉴질랜드
1차 산업부
(MPI) |
■ 리스테리아증 위험 있는 샐러드, 샌드위치, 랩 식품 리콜
LSG Sky Chefs New Zealand Ltd는 Naturezone, Wild Bean Cafe, Starbucks 등의 브랜드명으로 판매되는 샐러드, 샌드위치, 샐러드 랩, 피데(*터키의 전통 빵) 등 11개 식품에 리스테리아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리콜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