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726-210730)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726-210730)
작성자 신동은 조회수 618 등록일 2021-08-06 13:48:44
분류 국외 출처 한국소비자원 위해감시시스템(CISS)
첨부파일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세계
보건기구
(WHO)
■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의 길랭바레 증후군* 부작용 관련 성명 발표
*감염 등에 의해 몸 안의 항체가 말초신경을 파괴해 마비를 일으키는 신경계 질병
WHO 국제 백신 안전 자문위원회 코로나19 소위원회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코로나19 백신(얀센,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길랭바레 증후군 발병에 관한 성명을 발표했음. 위원회의 결론 및 권고사항은 다음과 같음. ▲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 접종 후에 길랭바레 증후군이 드물게 보고됨. ▲ mRNA 백신 접종 후에는 길랭바레 증후군 증가 양상이 관측되지 않았음. ▲ 의료진은 길랭바레 증후군을 비롯해 모든 부작용을 모니터링하고 보고해야 하며, 국가에서는 상세 정보를 계속 해서 수집·분석해야 함. ▲ 얀센 또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받은 개인은 길랭바레 증후군의 징후와 증상을 알고 근력 약화, 마비 등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에 갈 것. ▲ 위원회는 특히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얀센 및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익은 길랭바레 증후군 위험보다 크다는 결론을 내림.
세계
보건기구
(WHO)

■ 아스트라제네카, 코비실드 백신 관련 최신 임시 권고사항 발표
WHO는 최신 정보를 반영한 ChAdOx1-S(아스트라제네카, 코비실드) 백신 사용 관련 임시 권고사항을 발표했음. 수정한 부분은 교차접종(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mRNA 백신 접종 관련 신규 정보 추가), 백신 공급 제한으로 인한 2차 접종 지연 시 고려사항, 임산부 및 모유수유 여성 대상 접종, 사용 금지 및 예방 조치 내용임.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바이엘사, 2023년까지 주거지용 제초제에 글리포세이트 사용 중단
바이엘사는 미국에서 잔디 및 정원에 사용하는 라운드업에 활성 성분을 글리포세이트가 아닌 다른 성분으로 2023년까지 교체하겠다고 발표했음. EWG는 이 같은 결정을 반기며, 식품 오염의 주요 원인인 식량작물에도 해당 제초제 사용을 중단해 글리포세이트에 노출을 경감시켜야 한다고 촉구함.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McCormick, 살모넬라 위험 있는 향신료 3개 제품 리콜
McCormick사는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향신료 제품 3개(McCormick Perfect Pinch Italian Seasoning, McCormick Culinary Italian Seasoning, Frank’s RedHot Buffalo Ranch Seasoning)를 리콜했음. 해당 제품은 미국 내 32개 주의 타겟, 월마트 등 소매업체에 배송되었음. (*국내 유통 가능성이 있어 CISS 정보로 접수해 조치 중임)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어린이 자전거 헬멧, 안전성 시험 불합격해 구입 금지 제품으로 지정
컨슈머 리포트는 Dimensions Kids Bike Helmet With Bluetooth Speakers 제품이 컨슈머 리포트의 안전성 시험에서 턱끈 버클이 풀려, 구입 금지 제품으로 지정하고,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 제조업체, 제품을 구입한 월마트에 결과를 보고했음.
제조업체 측은 이전 안전 시험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며 이와 관련한 소비자 컴플레인도 없었다고 답변했음. 월마트는 제조업체가 추가 검사를 실시하는 동안 헬멧 판매를 일시 중단했다가 7.29.쯤부터 제품을 재판매하기 시작했음. (*해당 제품은 국내에 유통되는 것으로 추정돼 CISS 정보로 접수할 예정임)

영국
식품표준원
(FSA)

■ 캄필로박터균 감염원 보고서 발표
FSA는 인간의 캄필로박터균 감염 원인을 파악하는 보고서<영국 내 캄필로박터 감염의 개선된 분자 기반 감시 및 감염원 속성>을 발표했음. 닭이 가장 큰 원인이며, 그 외에 양, 돼지, 소 등의 동물이 원인이었음. 식품을 통해서 바로 감염될 수도, 환경이나 물 오염을 통해서도 감염이 가능했음.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휴대용 가스 버너 사용 주의보 발표
코로나19로 캠핑의 인기가 높아지고 캠핑 시즌이므로 캐나다 전역에서 휴대용 가스 버너 이용이 잦음. 캐나다 보건부는 캠핑객들을 대상으로 휴대용 가스 버너 관련 주의보를 발표했음. 휴대용 가스 버너는 조립 및 사용 지시사항을 제대로 따르지 않을 경우 폭발, 화재 위험이 높아지며 화상을 입을 수 있음. 캐나다 보건부는 2013년부터 휴대용 가스 버너 관련 폭발, 화염 또는 화재 사고 13건을 접수했음. 보통은 화구 및 부탄가스통을 잘못 설치해 발생했으며 일부는 심각한 화상을 입었음.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리콜 대상 엘리베이터 과속 안전 장치 미설치 시 사용 금지 주의보
CPSC와 Waupaca Elevator Company는 2018년 리콜을 재발표하면서, 리콜하는 Waupaca 엘리베이터는 과속 안전 장치를 설치하기 전까지 사용하지 말라고 당부함. 과속 안전 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하강한 사고가 여러 건 보고되며 1명이 사망했음.

영국
의약품건강
관리제품
규제청
(MHRA)

■ 적외선 체온계의 온라인 구입 주의보 발표
MHRA는 온라인에서 적외선 체온계 구입 주의보를 발표함. 신뢰할 수 없는 제품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소비자는 온라인에서 적외선 체온계 등 의료기기를 구입할 때 장치나 포장에 CE나 UKCA 마크를 확인해야 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가정 내 산소 요법 시 화기 취급 주의보 재차 발표
가정 내 산소 요법 시 화기 취급 주의보를 업데이트해 재발표함. 산소 농축 장치 등을 사용 중인 환자가 흡연 등이 원인으로 의심되는 화재로 사망하는 사고가 반복 발생하고 있어 재차 주의를 환기함. 화재 사고 88건의 원인별 분류 정보도 제공하고 있음.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해외 직구한 무허가 의약품에 의한 납중독 의심 정보 발표
싱가폴에서 직구한 무허가 의약품 ‘Penisole’을 섭취한 후 납중독 진단을 받은 사례가 발생함. 해당 제품을 검사한 결과 다량의 납이 검출되었음. 해당 제품은 구입하지 말고, 구입한 사람은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건강 피해가 의심될 경우에는 신속히 병원에 가도록 함. 인터넷 등을 통해 직구한 의약품은 건강을 해치는 성분이 포함된 경우도 있고, 건강 피해를 입는 사례도 있으므로 섣불리 구매 및 사용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일본
경제산업성
(METI)

■ 소비생활용 제품안전법 개정안 발표 : <장기 사용 제품 안전 점검 제도>의 특정 관리 제품에서 일부 제품 제외
METI는 소비생활용 제품안전법 개정 정보를 제공함. 장기 사용 제품 안전 점검 제도는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에게 제조업체와 수입업체에서 검사 시기를 알려주고 검사를 받게 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임. 소유자 본인에 의한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노후화에 의해 중대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제품이 대상임. 최근 기술 기준 강화 등으로 제도 확립 당시보다 사고율이 크게 저하된 제품, 즉 실내용 가스 순간 온수기(도시가스, LP가스용), 실내용 가스 목욕물 아궁이(도시가스, LP가스용), 밀폐 연소식 석유 온풍 난방기, 매립식 전기 식기 세척기, 욕실용 전기 건조기 7개 제품이 8월 1일부터 특정 관리 제품에서 제외됨.

일본
경제산업성
(METI)

■ 안전한 소형 발전기 사용 관련 인포그래픽 배포
METI는 안전한 소형 발전기 사용 관련 인포그래픽을 발표했음. 소형 발전기 운행 전, 사용 중과 사용 후에 점검할 사항에 관한 내용임.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6월 식품안전보고서 발표 : 기준 준수율 99.8%
CFS는 5,600여 개 식품 시료의 미생물, 화학물질,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으며, 11개 시료를 제외한 99.8% 시료가 기준에 부합했다는 6월 식품안전보고서 내용을 발표하였음. 부적합 시료는 ① 클로람페니콜 항생제가 검출된 가무락(venus clam, 백합과에 속하는 조개), 조개, 동양 대합 ② 식품 표시사항 규정을 위반한 건버섯 ③ 이산화황이 과다 검출된 건포도 ④ 대장균류가 과다 검출된 냉동 요거트 및 소프트 아이스크림 ⑤ 응고효소 양성 포도상구균을 과다 함유한 닭고기를 곁들인 밥 ⑥ 항생제가 검출된 꿀 ⑦ 잔류농약이 과다 검출된 바나나였음. CFS는 판매업체에 검사 결과를 알리고 해당 식품의 판매 중단을 지시했으며, 식품의 출처를 추적하는 조치를 취했음.

호주
의약품청
(TGA)

■ Gold Ant, 처방약 성분 함유해 섭취 금지 주의보 발표
TGA는 Gold Ant 제품이 표기하지 않은 처방약 성분인 실데나필을 함유해 건강에 심각한 부작용을 끼칠 수 있으므로 섭취하지 말라고 주의를 당부함.

호주
의약품청
(TGA)

■ One Night Love, 처방약 성분 함유해 섭취 금지 주의보 발표
TGA는 One Night Love 제품이 표기하지 않은 처방약 성분 실데나필과 시프로플록사신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심각한 부작용을 끼칠 수 있으므로 섭취하지 말라고 주의를 당부함.

다음글 아세안 소비자보호 위원회, 지속가능한 소비를 위한 아세안 툴킷 평가 워크숍 개최
이전글 독일 반독점 당국, “모바일앱 소비자 보호 기능 보완되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