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816-210820)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816-210820)
작성자 신동은 조회수 619 등록일 2021-09-08 16:30:58
분류 국외 출처 한국소비자원 위해감시시스템(CISS)
첨부파일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올바른 유아 물통 세척 방법 제공
Which?는 최근 세척 용이성 등을 포함해 유아 물통 12개를 테스트했음. 물통 세균 번식을 방지하는 세척 방법을 제공함. ▲ 식기세척기 사용 시 놓는 위치 고려 : 특히 노즐 주변을 비롯해 고압수가 골고루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둠. 뚜껑은 한 번은 위로, 한 번은 아래로 해서 식기세척기에 두 번 돌리는 것을 고려함. 그리고 식기세척기를 고온으로 설정하면 세척력이 나음. ▲ 구석지고 틈이 있는 디자인의 제품은 식기세척기보다 설거지가 더 나을 수 있음. 노즐과 뚜껑 부분은 특히 꼼꼼히 세척하고, 빨대 안도 헹굼. ▲ 물병은 가능한 분해해서 씻음. ▲ 병 세척 솔을 구입함. ▲ 살균액을 사용함 : 1~2주에 한 번 최소 15분간 용액에 담금. 살균액은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지만, 생긴 곰팡이를 제거하는 데는 효과가 없을 수도 있음. 이 외에 추천하는 제품 정보도 제공함.
미국
환경
실무그룹
(EWG)


- EPA 링크

■ 미 EPA, 식품에 클로피리포스 살충제 사용 금지 계획 발표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식품에 클로피리포스 살충제 사용 전체를 금지할 것이라고 발표했음. 클로피리포스는 임신 기간 및 생애 초기에 소량이라도 노출되면 IQ 저하, 운동 및 감각 기능 발달 지연, 사회성 및 행동 기능 장애를 비롯해 발달하는 뇌에 피해를 입힘. 연방관보 공표 이후 6개월 후부터 발효되며, EPA는 식품 외 클로피리포스 사용의 위해성에 대해서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음.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사용 시 주의사항 등 마사지 건 제품 정보 제공
컨슈머 리포트는 여러 마사지 건을 테스트하고 있으며 결과는 올해 말에 나올 것으로 예상됨. 마사지 건이 무엇인지, 핵심 기능을 소개함과 더불어 안전한 사용법을 안내함. ▲ 사용 시간은 6~10분 사이가 적당함. 약하게 시작해 천천히 진행하고 통증이 느껴지면 사용을 중단함. 근육을 과하게 자극시키면 손상, 멍, 심각한 경우 횡문근변성(근육 세포가 파괴되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음. ▲ 근육에만 사용함. 관절과 뼈에는 사용을 피함. 목을 비롯해 척추에는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음. 만약 해당 부위가 아프다면 승모근 상단에 사용하는 것을 권함. ▲ 만성 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더욱 주의해서 사용해야 함. 특히 섬유근육통이 있는 사람 등에게 심부 압력은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음. 운동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등으로 근육이 아프다면 강도를 과하게 사용하지 않음. ▲ 골밀도가 약한 사람은 사용 시 주의해야 하며, 수술 부위, 심부정맥혈전증 부위, 심박조율기 등 체내이식기기 주변에는 사용을 피하고 임산부도 사용해서는 안 됨. 손목터널증후군, 피로 골절, 급성 염증에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됨. ▲ 마사지 건을 사용한 후 통증이 생기거나 증상이 악화되면 의사와 상담할 것. 마사지건을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 걱정되면 구입 전에 의사와 상담할 것. 의사가 사용을 권한다면 마사지사나 물리치료사에게 사용법 등의 자문을 구할 수 있음.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HHS 링크

■ 전체 미국인 대상 코로나 백신 추가 접종 권고
미국 공공보건 및 의료 전문가단은 모든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모더나나 화이자 백신 2차 접종 후 8개월에 추가 접종을 해야 한다고 권고했음. 추가 접종은 9월 20일부터 확보 가능하지만 그 전에 식품의약국(FDA)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검토하고 3차 접종의 안전 및 효능과 관련해 합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는 냉동 새우 및 새우 포함 초밥 제품 추가 리콜
2021.6.25.에 처음 발표한 미국 전국 규모의 Avanti Frozen Foods 냉동 새우 리콜건에 브랜드를 추가하며 범위를 확대했음. 해당 리콜과 관련해 4개주의 9명이 살모넬라증에 걸렸음. 조리했거나, 껍질을 까고 내장을 제거한 냉동 새우로, 2020년 11월과 2021년 5월 사이에 매장에 배송된 여러 브랜드 제품을 추가했음. 또 타겟 매장, 홀푸드마켓에서 판매하는 일부 포장 초밥도 리콜함. 리콜하는 제품은 폐기하거나 구매처에 반품하고 전액 환불을 받게 됨.

영국
식품표준원
(FSA)

■ 리콜하는 돼지껍데기 튀김 제품, 섭취 금지 주의보 발표
FSA는 살모넬라증 위험이 있어 리콜하는 여러 돼지껍데기 튀김 제품을 섭취하지 말라는 주의보를 발표했음. 해당 식품은 2020.9.부터 현재까지 영국 내 살모넬라증 176건과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음. (*해당 제품은 국내 유통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돼 CISS에 접수해 조치 중임)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고강력 자석 삼킴 주의보 재발표
CPSC는 재차 부모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고강력 자석 볼 및 큐브 완구의 위험성에 대해 주의를 당부함. CPSC는 삼킴으로 인한 사망 위험으로 관련 제품의 강제 리콜을 발표하였음. 고강력 자석은 삼키면 다른 자석 또는 금속 물체와 붙어 소화계 천공, 장꼬임, 폐색, 감염, 패혈증, 사망을 초래할 수 있음. 10대가 자석으로 마우스 피어싱을 흉내 내다 자석을 갑자기 삼키는 사고 등 영유아, 유아, 10대가 자석을 삼켜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음.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개학 맞이해 안전사고 주의보 발표
개학이 다가오며 학부모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라고 촉구함. 매년 수천 명의 어린이들이 운동장에서나 체육활동 중 또는 등하교 시 보행, 자전거, 스케이트보드, 킥보드 사고로 부상을 입음. 코로나로 인한 마스크 착용을 비롯해 상황별 안전 주의사항을 안내함.

영국
의약품
건강관리제품
규제청
(MHRA)

■ 12세~17세 대상 모더나 백신 접종 승인
MHRA는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되었다며 12~17세 대상 모더나 백신 접종을 조건부 승인했음. 그레이트브리튼에 한정한 결정이며 북아일랜드에서는 7.23.에 해당 연령을 대상으로 승인한 바 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 반려동물 수백 마리 사망케한 건사료 업체 대상 경고장 발부
FDA가 건사료 업체 Midwestern Pet Foods의 제조 공장을 점검한 결과, 제조 규정을 위반했으며 사료 시료에서 곰팡이 독소 아플라톡신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됨에 따라 경고장을 발부했음. 업체는 위반사항을 시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작성해 15영업일 내로 답변해야 함. 지난 1월과 3월에 관련 제품을 리콜한 바 있으며, 8월 9일자로 FDA는 이 이슈와 관련해 컨펌되지 않은 건들을 포함해 반려동물 130마리 사망, 220마리에게서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는 보고를 받았음.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GM, 쉐보레 볼트 전기차 전체로 리콜 범위 확대
GM사는 현 쉐보레 볼트 EV 차량 리콜에 2017~2022년식 차량을 포함해 전 차량을 리콜하는 것으로 범위를 확대했음. 해당 차량은 고압 배터리팩에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어 리콜하며, 이전에 화재 위험으로 리콜 수리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는 차량도 포함됨.
호주
경쟁소비자
위원회
(ACCC)

■ 연방 법원, 안전 표준 미준수 제품 판매한 데카트론사에 벌금 부과 등 명령
연방법원은 안전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스포츠 제품을 판매한 데카트론사에 후속조치 통지서를 웹상으로 발표하고, 호주 소비자법 준수 프로그램을 시행하며, 15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하는 명령을 내렸음. 데카트론사는 2016.1.~2019.12. 기간에 호주 의무 안전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농구대 432개와 휴대용 풀장 307개를 공급했다고 승인했음. 농구대 14개 모델과 풀장 5개 모델로 안전 표시사항, 소비자 주의문구, 설치 및 사용지침이 누락됨.

다음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823-210827)
이전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외직구 전자제품 중고거래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