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기관 |
주요내용 |
세계
보건기구
(WHO) |
■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 관련 임시 성명 발표
WHO는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 관련 임시 성명을 발표했음. WHO는 계속해서 추가 접종의 필요성과 시기에 관한 정보를 검토 중임. 현재까지는 접종 완료 후에 추가 접종이 전체적으로 필요하다는 증거는 제한적이며 결정적이지 않다는 입장임. 국제적으로 백신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WHO는 1차 접종 완료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음. |
세계
보건기구
(WHO) |
■ 납 페인트 제거법 제정을 위한 툴킷 제공
WHO는 납의 건강·경제적 영향, 납 페인트가 공공보건에 우려를 끼치는 이유, 페인트 및 혈류의 납 농도 측정 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자료를 발표했음. 각국에서 페인트 규제 마련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 2021년 독감 예방접종 정보 제공
Which?는 독감 예방접종 관련 무료 접종 대상, 유료 접종 장소 및 비용, 안전성과 부작용, 코로나19 백신과 동시 접종 가능 여부, 독감 예방접종의 코로나 예방 효과, 독감과 코로나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독감 예방접종은 매우 안전하며 대부분의 부작용은 1~2일 정도로 가볍게 지나감. 임상 시험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백신과 동시 접종해도 안전하며, 면역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음. 일부 사람들은 동시 접종을 받은 후에 부작용이 더 있다고 보고했으나, 가벼운 부작용으로 며칠 내에 괜찮아졌다고 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 캘리포니아주, 영유아 및 유아 제품의 과불화화합물(PFAS) 금지법 서명 승인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영유아 침대, 놀이용 울타리 등 영유아 및 유아 제품에 PFAS를 금지하는 법에 서명 승인했음. 2023.7.1.부터 발효됨. PFAS는 수천 개의 화학물질 그룹으로, 발암 위험 증가, 태아 발달 저하, 백신 효능 감소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짐. 환경에서 분해되지 않고 인체 혈류나 장기에 축적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 캘리포니아주, 식물성 식품 포장 및 종이 빨대의 PFAS 금지법 서명 승인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종이, 판지, 식물성 식품 포장 및 도구, 종이 빨대에서 PFAS 물질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 승인했음. 2023.1.1.부터 발효됨. 이 법에 따라 제조업체는 조리도구에 존재하는 화학물질 목록을 자사 웹사이트를 통해 공표해야 하며, PFAS 함유 관련 허위 광고도 금지됨. 또 조리도구가 손잡이, 코팅에 독성 화학물질을 함유할 경우 라벨에 표기하도록 요구하는 조항도 있음(이는 2024.1.1.부터 발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 FDA, 소비자용 모발 염색제에 납 아세테이트 금지 조치
FDA는 소비자용 모발 염색제에 유독성 납 아세테이트 사용을 금지함. 납 아세테이트는 염색용 활성 성분으로 체내 납 수준을 높일 수 있음. 납은 안전 노출 수준이 없으며 발달 문제, 생식력 감소, 암 등의 심각한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음.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 캘리포니아주, 미국 내에서 가장 엄격한 수준으로 상수도 설비 납 침출 농도 설정하는 법안 서명 승인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미국에서 가장 엄격한 수준으로 상수도 수도설비의 납 침출 허용치를 설정하는 법안에 서명 승인했음. 2023년부터 캘리포니아주에서 판매하는 상수도 수도꼭지 및 설비에서는 납이 1㎍ 이상 침출되어서는 안 됨. 이는 현재 업계 인증 표준의 5배 낮은 수치임.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코퍼톤 사, 벤젠 함유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리콜
존슨앤드존슨 사가 벤젠을 함유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를 리콜한 후, 9.30. 코퍼톤 사도 벤젠이 함유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Pure & Simple SPF 50 Spray, Sport Mineral SPF 50 Spray, Sport SPF 50 Spray (travel size)) 일부를 리콜하였음. 벤젠은 발암물질로 간주됨. 단기 부작용으로는 현기증, 두통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고, 장기간 노출될 경우 인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유아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질의응답 내용 제공
화이자사는 FDA에 5~11세 유아 대상 백신 사용을 승인해달라고 공식 요청했음. 백신자문단은 10.26. 관련 회의를 개최하게 됨. FDA는 5월 초에 12~15세 유아 대상 화이자 백신 사용을 승인했음. 10.6.자로 이 연령대의 54.9%가 최소 1차 접종을 받았으며, 44.6%는 접종을 완료했음. 컨슈머리포트는5.4. 발표한 내용을 업데이트해 재발표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영유아 시리얼 Parent’s Choice rice baby cereal, 비소 고함량으로 리콜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영유아 식품 제조업체 Maple Island의 Parent’s Choice rice baby cereal 제품에 비소 함량이 높아 3개 로트 제품을 리콜함. 비소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음. 해당 제품은 4월 5일 이후 월마트에서 판매되었으며, 질병에 관한 보고는 없었음.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제품을 월마트 매장에 반품하고 전액 환불을 받거나 제품을 폐기하도록 함.
|
독일
연방소비자
보호식품
안전청
(BVL) |
■ BVL의 2020년 RASFF 정보 연례 평가 결과 제공
2020년에는 유럽 식품 및 사료 신속 경보 시스템(RASFF) 네트워크를 통해 원본 보고 3,800건 이상, 후속 보고가 11,000건 이상 공유됨. 다발 원인은 인도산 참깨에 잔류하는 에틸렌옥사이드 성분이었음. 또, 다발 식품군은 견과류, 견과류 제품 및 종자였음.
작년 유럽 당국은 컵젤리를 중점적으로 조사했음. 젤리에 종종 포함되는 알긴산나트륨(E401), 카라기난(E407), 로커스트 빈 검(E410), 곤약(E425) 같은 첨가제는 유럽 연합에서 유아 및 노인의 질식 위험이 있어 금지하는 물질임. 2020년 RASSF에는 이와 관련해 12건의 정보가 게시됨.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 Tinactin 무좀 스프레이, 벤젠 과다 함유 가능성 있어 특정 제품 리콜
무좀 치료 및 예방용 일반의약품 Tinactin 에어로졸(Tinactin Aerosol Powder, Tinactin Chill Deodorant Powder Spray, Tinactin Chill Liquid Spray) 제품이 벤젠 과다 함유 가능성이 있어 6개 로트 제품을 리콜함. 벤젠은 피부를 통해서나 호흡을 통해서 장기간 자주 노출되면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어린이는 더욱 취약함. 즉각적인 벤젠 과다 노출 증상은 졸음, 현기증, 빈맥, 부정맥, 두통 등임.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 유아 및 청소년 집중력 개선 영양제, 황색포도상구균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
Natripur Inc.사는 황색포도상구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GENIUS Kids and Teens softgel capsules 1개 로트 제품을 리콜함. 해당 제품은 유아 및 청소년의 뇌 및 안구 건강, 집중력, 정신 기능, 주의력 결핍 장애/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광고함. 오염된 제품 복용 시 복부의 불편감 또는 통증, 설사,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으며 유아, 10대, 면역저하자는 더욱 취약함.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 화재예방주간을 맞아 연기탐지기 및 일산화탄소 경보기 작동에 따른 적절한 대응 안내
10.3.~9.은 화재예방주간으로 CPSC와 국립화재예방연합(NFPA)은 사람들에게 연기탐지기 및 일산화탄소 경보기 소리를 들어보고 적절하게 대응하라고 촉구함. ▲ 경보기가 울릴 경우 신속히 집 밖으로 탈출함 ▲ 경보기가 연속적으로 삐 소리를 내면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경보기를 새로 설치함 ▲ 집안에 들을 수 없거나 난청인 사람이 있을 경우 침대 쉐이커와 시각경보기를 설치하도록 함.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 유아가 있는 가정에 끈 없는 창문가리개 제품 사용 촉구
10월은 국가 창문가리개 안전의 달로 CPSC는 어린 아동이 있는 집에서는 블라인드, 커튼 등 창문가리개 제품은 끈이 없는 것을 사용하라고 촉구함. 창문가리개의 당김줄, 연속 고리 작동 시스템, 그 외 접근 가능한 줄에 영유아나 유아의 목이 졸릴 수 있기 때문임. 미국에서는 매년 5세 미만 유아 약 9명이 블라인드 등의 줄에 목이 졸려 사망함.
|
싱가폴
보건과학청
(HSA) |
■ 의약품 성분 함유 제품 구입 및 섭취 금지 주의보 발표
HSA는 의약품 성분을 함유해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제품을 구입하거나 섭취하지 말라는 주의보를 발표했음. Miracle Gold Candy (타다라필 성분), C4 Candy (타다라필 성분), Coco Hotz Cocoa Drink (덱사메타손 성분) 제품임.
|
미국
환경보호청
(EPA) |
■ EPA, 미등록 및 브랜드 오기 항균 제품 수입 업체에 벌금 부과
EPA는 미등록 및 브랜드 오기 항균 제품을 수입한 3개 업체(OnTel Products Corp., Forma Brands LLc, Loginet Inc.)에 총 65만 달러가 넘는 벌금을 부과했음. 해당 업체는 연방 보고 요건도 준수하지 않았음.
OnTel Products : Artic Air Tower Evaporative Air Cooler, Artic Air Pure Chill Evaporative Air Cooler → 항균 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항균 효과가 있다고 광고하지만 EPA에 미등록, 라벨에 소비자를 호도하는 언어가 사용됨. 보고 미제출 (*국내 유통되는 것으로 추정돼 확인 후 조치 필요함)
Forma Brands : Morphe UV Disinfection Box → 브랜드 오기, 보고 미제출
Loginet : 75% Alcohol Wipes → 살균 문구가 있지만 EPA 미등록, 보고 미제출
|
일본
소비자청
(CAA) |
■ 고령자 낙상 사고 주의보 발표
소비자청은 고령자 낙상 사고 주의보를 발표함. 2020년 낙상, 추락 등으로 사망한 고령자는 8,851명이었음. 고령자 낙상 사고는 노화에 의한 신체 및 인지 기능의 저하, 운동 부족으로 인한 신체 기능의 저하, 질병과 약물의 영향 등으로 발생할 수 있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생활 환경을 정비해야 함. ▲ 방 정리 : 바닥에 물건을 두지 않음. 코드는 벽에서 제거, 바닥이 젖어 있으면 청소, 난간을 부착함. ▲ 적당한 운동을 실시함. ▲ 위험한 곳은 밝게 비추고, 색상을 변경하거나 주의문구를 부착하는 등 눈에 띄게 개선함.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 공표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이와테현산 코우타케 버섯과 후쿠시마현산 반달곰 시료 2종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 안전한 닭고기 저온 조리법 영상 게시
FSC는 <닭고기 저온 조리 – 안전하고 맛있게 음식을 요리하자>는 식품 안전 영상을 게시하였음. 최근 저온 조리 기기가 다양하게 판매되고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샐러드용 치킨과 치킨햄 등의 저온 요리를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문가의 안전 주의사항 내용을 안내함.
|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 스코틀랜드산 맛조개, 생물독소 오염 가능성 있어 섭취 및 판매 금지 주의보 발표
CFS는 스코틀랜드산 Lochleven Shellfish 브랜드 냉장 맛조개가 친유성 해양 생물독소 오염 가능성이 있다며 섭취 및 판매 금지 주의보를 발표했음. 세계식품안전당국 네트워크(INFOSAN)를 통해 입수한 정보로, 해당 식품이 홍콩에 수입된 사실이 확인돼 취한 조치임.
|
호주
경쟁소비자
위원회
(ACCC) |
■ ATV 의무 안전 표준 2단계 요건 시행
10.11.자로 호주에서 판매하는 일반 ATV는 ATV 의무 안전 표준 2단계 요건을 준수해야 함. 신차뿐만 아니라 수입한 중고 차량도 적용됨. 2단계에서는 운전자 보호 장치 장착 및 안정성관련 최소 요건을 규정하고 있음. 호주에서는 올해 지금까지 6명이 ATV 사고로 사망했으며, 작년에는 사망자가 24명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