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1011-211015)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1011-211015)
작성자 신동은 조회수 666 등록일 2021-10-29 15:57:28
분류 국외 출처 한국소비자원 위해감시시스템(CISS)
첨부파일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아스피린 상시 복용 관련 권고사항 안내
심장병 예방을 위해 매일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미국인이 많음.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는 40세 이상 미국인 3천만 중 660만 명이 의사의 권고를 받지 않고 복용한다고 함. 최근에는 심장 질환이 없는 사람이 규칙적으로 아스피린을 복용할 경우 내부 출혈 등 심각한 부작용 위험이 복용으로 인한 이익보다 클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됨.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질병예방특위(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USPSTF)는 아스피린 복용 관련 권고안을 새로 발표했음. 권고안에 따르면 60세 이상 고령자가 심혈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아스피린 복용을 시작해서는 안 되며, 심혈관 질병 위험이 10% 이상인 40~59세 성인은 매일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작은 이익은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해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함.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임신 중 안전한 차량 이용 방법 소개
차량과 차량 구속 장치는 평균 남성에 맞춰, 덩치가 작은 여성, 고령자, 어린이, 임산부에게는 적절하지 않음. 하지만 안전벨트는 임산부와 태아를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며, 제대로 착용하는 것이 중요함. ▲ 좌석은 핸들이나 계기판과 배 사이가 멀도록 가능한 뒤로 조정하되, 손과 발이 핸들과 페달에 편안하게 닿아야 함. ▲ 어깨 끈은 가슴 사이에, 무릎 밸트는 배 아래, 골반뼈를 가로지르는 위치에 둠. : 어깨 끈 은 높거나 낮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 무릎 벨트는 배 위에 두를 경우 충돌 사고 시 태아가 위험할 수 있음. ▲ 에어백은 절대 끄지 말 것. ▲ 운전할 필요가 없을 때는 조수석에 계기판과 최대한 떨어진 위치에 앉는 게 제일 안전함.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 관련 정보 제공
컨슈머 리포트는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 관련 질의응답 내용을 제공함. FDA 패널은 모든 얀센 백신 접종자(mRNA 교차 접종 여부는 미정), 모더나 또는 화이자를 접종 받은 65세 이상 고령자, 건강 및 직업상의 특정 고위험군에게 추가 접종을 권고했음. 기사의 주요 내용은 ▲ 현재 미국의 추가 접종 관련 권고사항 ▲ 추가 접종 필요 근거 ▲ 추가 접종의 면역력 개선 여부 ▲ 추가 접종의 부가적인 위험 ▲ 추가 접종 백신 종류(같은 백신을 맞아야 하는지) ▲ 얀센 백신 접종자 대상 정보 등의 내용임.

유럽
식품안전청
(EFSA)

■ 유럽 5개국에서 수입산 참깨 식품 살모넬라 감염 사고 발생
타히니 소스와 할바(*터키와 중동지역에서 먹는 달콤한 과자 종류) 등 수입산 참깨 함유 식품으로 인해 유럽 여러 국가에서 살모넬라증이 발생했음. 2019년 1월부터 덴마크,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에서 최대 121명이 감염되었음. 2020년 8월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조치에 착수했으나, 유통기한이 길어 가정에서 아직 제품을 보관 중이어서인지 올해 9월까지도 감염건이 보고됨. 이 식품으로 인해 새로운 살모넬라균에 감염될 위험이 여전히 존재함.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 불꽃놀이 안전 가이던스 발표
OPSS는 불꽃놀이 안전 가이던스를 발표했음. 주요 내용은 ▲ 허가 받은 판매자에게서만 구입 ▲ 안전 지침 준수 ▲ 가정용 제품 파악 ▲ 반려동물, 가축 등 동물을 배려함 등임.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Ombrelle 스프레이형 자외선차단제, 벤젠 과량 검출돼 리콜
Ombrelle사는 자외선차단제 Ombrelle Garnier Complete Dry Mist Spray(SPF 30, SPF 60) 제품에 높은 수준의 벤젠이 검출돼 리콜함. 피부나 호흡 등으로 자주, 장기간 노출되면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최근 벤젠 검출로 인해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를 리콜한 사례가 여럿 있었음.)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할로윈 데이 안전 주의보 발표
CPSC는 곧 할로윈 데이를 맞아 사탕 주고받기 놀이, 코스튬 착용, 호박 조각 및 장식 시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라고 당부함. CPSC는 최근 3년 간 할로윈 데이와 관련해 부상을 입어 응급실을 방문한 사례가 연평균 3,600건으로 추산했음. 사고 48%는 할로윈용 호박을 조각하다가 발생했으며, 27%는 장식을 하거나 떼다가, 코스튬에 발이 걸리거나, 사탕 놀이를 하러 걷는 와중에 넘어져 발생했음. 25%는 열상, 삼킴사고, 알러지 반응 및 피부발진, 기타 부상이 차지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 가공/포장 식품의 나트륨 경감 관련 업계 자율 가이던스 발표
FDA는 식품 업계의 가공 및 포장 식품의 나트륨 경감을 위한 자율 가이던스를 발표했음. 해당 가이던스에서는 가공, 포장, 조리 식품 163개 범주에 대한 식품 제조업체, 체인 레스토랑, 식품서비스 운영업체의 단기 나트륨 경감 목표를 자율적으로 참고하도록 제시하고 있음.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안전 평가 실시 대상 2022년식 차량 발표
NHTSA는 차량 안전 평가를 실시할 22년식 차량 목록을 발표했음. 5점 만점 안전 평가 시험과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검증 시험 대상으로 나뉨. 선정한 차량은 2022년식 신차의 거의 86%를 차지하므로, 소비자가 차량 구매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됨.

미국
농무부
(USDA)

■ 2019년 식품기인성 질병 원인 보고서 발표
부처간 식품 안전 분석 협의체(IFSAC)는 2019년 식품기인성 질병 연간 보고서를 발표했음. 해당 기구는 살모넬라, 대장균 O157, 리스테리아, 캄필로박터 4개 병원균에 대한 식품기인성 질병 발생 데이터와 미국 내에서 식품기인성 질병을 일으키는 구체적인 식품 및 식품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있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매년 미국에서 이 4개의 병원균이 약 2백만 건의 식품기인성 질병을 일으킨다고 추산함.

다음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1018-211022)
이전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1004-21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