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세계
보건기구
(WHO) |
■ INFOSAN 3분기 활동 결과 발표
국제식품안전당국네트워크(INFOSAN)의 2021년 3분기 활동 결과를 발표함. INFOSAN 사무국은 이 기간 내 63개 WHO 회원국 및 영토의 식품안전사고 65건에 관여했음. 생물학적 위험 관련 사고가 46건(살모넬라균 20건, 리스테리아균 11건, 대장균 4건 등), 물리적 위험 관련 사고가 9건(유리 4건, 플라스틱 2건 등), 라벨 미표기 알러지원 또는 성분 관련 사고가 7건이었음. 식품군은 수산물 13건, 향신료 및 조미료 8건, 육류 및 육류 제품 8건, 채소 및 채소 제품 8건, 우유 및 유제품 6건, 스낵, 디저트, 기타 식품 5건, 과일 및 과일 제품 4건 등의 순이었음.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 아기 매트리스 만족도 조사 결과 제공
Which?는 2021년 2월 1,878명 부모에게 사용 중인 아기 매트리스 브랜드, 만족도, 친구에게 권장 의향을 조사해 점수를 매긴 결과, 59~83%로 결과가 다양했음. 20개 브랜드 중 고객 만족도가 제일 낮은 8개 브랜드를 제공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건조 허브 및 향신료의 중금속 조사 결과 발표
컨슈머 리포트가 건조된 허브 및 향신료 15개 종류, 126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거의 1/3에 달하는 40개 제품이 건강이 우려되는 수준으로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었음. 타임, 오레가노 두 허브는 중금속이 전 제품에서 우려 수준으로 검출되었음. 31개 제품은 납이 일일 허용치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과다 검출됨. 한 번 먹어서 피해를 입을 수준은 아니지만, 일부 제품은 자주 먹을 경우 우려할 만큼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소비자는 신중하게 향신료를 고르고 사용함으로써 위험성을 낮춰야 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부작용 포함 쿨스컬프팅 시술 관련 정보 제공
쿨스컬프팅(Coolsculpting) 시술 관련 정보를 제공함. 쿨스컬프팅은 지방세포를 얼려서 파괴하는 비수술적 의료 시술로, 최근 몇 년간 인기를 끌고 있음. 업체 웹사이트에서 열거하는 부작용으로는 가벼운 멍, 피부 민감증, 아린 느낌, 저림, 피부 홍반 등이 며칠에서 몇 주간 지속될 수 있다고 하지만 지방세포 과대 이상증식(PAH) 등 더욱 심각한 부작용 위험도 있음. 연구에 따르면 PAH는 2,000회 중 약 1번 빈도로 발생하며(환자는 보통 2~3회 시술을 받게 됨), 대부분 지방흡입술로 치료할 수 있지만, 경화된 지방이 수술에 적합한 상태로 부드러워질 때까지 수개월을 기다려야 함.
|
독일
연방소비자
보호식품
안전청
(BVL) |
■ 2020년 인수공통전염병 모니터링 결과 발표
2020년 인수공통전염병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독일 연방 주 당국이 총 6,807개 시료를 수거해 검사한 결과, 시가 독소 생성 대장균(STEC)이 검출됨. 이 박테리아는 사람에게 급성 장염을 일으키며, 어린이는 용혈성요독증후군이 발생할 수도 있음. 특히 어린이, 노인, 면역저하자, 임산부 같은 고위험군은 고기와 밀가루를 비롯해 충분히 조리한 음식을 섭취해야 함. 요리를 할 때는 주방 위생 기본 규칙을 엄격히 준수해야 함.
|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
■ 온라인 플랫폼 제품 구입 주의보 발표
OPSS는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온라인 플랫폼 쇼핑 주의보를 발표했음. 안전 확인리스트는 다음과 같음. ▲ 온라인 플랫폼에서 직접 판매하는 것인지 아니면 제3자 판매업체를 통한 것인지? ▲ 안전한 제품 판매 관련 판매자의 평판을 확인 ▲ 판매자 연락처(이름과 주소) 제공 여부임.
|
싱가폴
보건과학청
(HSA) |
■ 시부트라민 함유 제품 섭취 및 구입 금지 주의보 발표
HSA는 금지물질인 시부트라민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진 체중감량 광고 제품의 섭취 및 구입 금지 주의보를 발표했음. 제품은 아래와 같음.
- Magic Mocha
- Thao Moc Ho Tro Giam Beo Cenly
- Cynthia Beauty EazyS Instant Coffee Powder
해당 제품은 전자상거래와 SNS를 통해 판매되었음. HSA는 제품 섭취 후 3명의 소비자가 심계항진(*자신의 심박동을 불편하게 여기는 증상), 메스꺼움, 극심한 갈증, 편두통,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정보를 접수했음. 해당 제품은 지속 섭취하면 심장 문제, 정신병 및 환각 등 중추신경계장애 같은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HSA는 판매자에게 경고장을 발부했으며 플랫폼 운영자는 해당 제품의 판매를 차단했음.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 기준 위반한 수입 식품 대상 검사 명령 발부
후생노동성은 기준치를 각각 3배와 2배 초과하는 아이소프로카브 농약이 검출된 인도네시아산 커피 원두, 기준치를 3배, 8배, 7배 초과하는 카바릴 농약이 검출된 대만산 우롱차, 검출되어서는 안 되는 발암성 곰팡이독소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중국산 메밀국수(가루 포함)를 대상으로 검사 명령을 내렸음.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감시 결과 공표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야마가타현산 코우타케 버섯, 군마현산 큰비단그물 버섯 2종, 아카모미타케 버섯, 개암 버섯, 차나메츠무타케 버섯, 코우타케 버섯 2종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