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1122-211126)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1122-211126)
작성자 신동은 조회수 620 등록일 2021-11-30 13:47:15
분류 국외 출처 한국소비자원 위해감시시스템(CISS)
첨부파일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연기감지기, 구입 금지 제품 및 관련 내용 소개
Which?는 연기감지기 여러 개를 시험한 결과, 오픈마켓 위시에서 구입한 Digoo DG-SA01 제품이 대부분의 화재모의시험 상황에서 알람이 울리지 않아 구입 금지 제품으로 지정했음. 해당 제품 박스에 프린트된 CE 마크도 제대로 인증을 받고 표시한 것이 아님. (*해당 제품은 국내에 유통되는 것으로 추정돼 CISS에 접수 후 조치할 예정임)
Digoo 브랜드 제품은 2020년에도 DG-SA10 제품이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바 있었음. 오픈마켓에서 판매하는 중국산 비브랜드 연기탐지기도 검사를 통과하지 못해 제품 다수를 오픈마켓에서 판매 차단한 바 있음.
2022년 2월, 스코틀랜드에서는 화재 및 연기 감지기 규정이 개정될 예정임. ▲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에 연기 감지기 1개 설치 ▲ 모든 복도 및 층계참에 연기 감지기 1개 설치 ▲ 주방에 열 감지기 1개를 설치하는 것임.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영국 정부, 스마트기기 보안 강화하는 제품안전통신법 발표
영국 정부가 새로 발표한 제품안전통신법에 따르면 TV, 스마트폰, 스피커, 완구 등 스마트 제품에 해킹을 대비한 기본 보안 요건이 강제하게 됨. 해당 법은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지는 않지만 허브나 브릿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스마트 전구 또는 피트니스 트래커 등에도 적용됨. 그러나 악성 소프트웨어 및 바이러스에 대한 다양한 옵션이 있는 노트북 및 데스크톱 컴퓨터, 커넥티드 카, 스마트 미터, 전기차 충전소, 의료기기는 예외이며, 현재로서는 중고 스마트기기는 규제 대상이 아님.

법안의 주요 내용은 ▲ 리셋 불가능한 고유 비밀번호 설정 ▲ 제조업체의 보안 취약성 제보용 연락망 구축 ▲ 구입 시 최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간 알림. 요건을 준수하지 않는 제조업체, 수입업체, 유통업체는 최대 1.000만 파운드 또는 총 국제 매출고 비율에 따른 벌금을 물게 됨.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미 의회, 강력한 살충제 규제 법안 도입
미국 의회는 유기인산염 전체, 네오니코티노이드, 파라콰트, 클로피리포스, 말라치온 등 맹독성 살충제 다수를 금지 및 제한, 건강에 기반한 살충제 허용치 설정, 농업인 안전을 규정하는 법안을 도입했음. 이 법안에 따르면 환경보호청의 살충제 유통, 판매 및 사용을 규제하는 권한도 상당히 강화하게 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감시 결과 발표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공표함. 군마현산 개암버섯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어린이 식품안전 정보, <음식에 의한 질식 사고 주의>편 게시
어린이 식품안전정보 키즈박스 11월호, <음식에 의한 질식 사고 주의>편을 게시했음. 사탕, 젤리 등의 과자, 콩, 견과류, 과일, 고기, 생선, 밥, 빵 등이 위해 다발 음식이며, 음식을 씹고 삼키는 힘이 약한 노인과 어린아이가 음식물 질식 사고에 취약함. 이 외에 음식물 섭취 시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있음.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라벨 미표기 이산화황 성분 함유 국수 주의보 발표
중국산 국수 Select 브랜드 Shrimp-egg Noodles이 라벨에 표기하지 않은 이산화황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CFS는 섭취 금지, 제품 사용 또는 판매 중단을 촉구하는 보도자료를 발표했음. 이산화황은 방부제로 허용하는 식품 첨가물이며, 해당 식품에 검출된 수준은 식품 규정의 최대허용치 이하이지만, 라벨에 표기되어 있지 않았음. 이산화황은 알러지가 있는 민감한 사람이 섭취할 경우 호흡곤란, 두통, 메스꺼운 증상을 겪을 수 있음.

다음글 [보도자료] 한국은행, 2021년 3/4분기중 거주자의 카드 해외사용 실적
이전글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 연말 쇼핑 시즌을 맞아 온라인 사기 거래 주의보 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