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530-220603)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530-220603)
작성자 백주석 조회수 702 등록일 2022-06-16 10:58:50
분류 국외 출처 위해정보팀
첨부파일
해외  2022.5.30. ~ 6.3.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영유아 분유 안전 및 공급 감독 강화 법안 도입

EWG는 미 하원이 FDA의 영유아 분유 안전과 공급 감독을 강화하는 법안을 도입하는 것을 환영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했음. 법안은 영유아 분유 시설 점검 횟수 증대, 기습 현장 방문 허가, 업체에서 실시한 전체 병원균 검사 FDA에 공개, 문제 적발 시 업체에 포괄적인 식품안전검사를 요구하는 내용임. 또 FDA와 기타 연방 기관에 영유아 분유 공급 부족을 방지하도록 공급 모니터링 시스템 설립도 요구하고 있음.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질식 위험으로 Electrolux, Frigidaire 냉장고 리콜

Electrolux, Frigidaire 냉장고는 아이스메이커의 아이스 레벨 암(arm)이 조각조각 파손돼 얼음통에 떨어져 질식 위험을 초래하므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판매된 해당 브랜드 14개 모델 37만여 대를 리콜함. 업체는 아이스 레벨 암이 파손되었다는 제보를 185건 받았으며, 이중에는 잇몸 열상을 입은 1건도 포함됨.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휴대용 성인 침대 가드 사용 금지 주의보 발표

CPSC는 Mobility Transfer Systems의 휴대용 성인 침대 가드 사용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해당 제품은 끼임 및 질식 위험을 초래하며 3명이 사망했다고 보고됨. 1992~2021년에 Mobility Transfer Systems사가 제조 및 판매하고 2021~2022년에 Metal Tubing USA사가 제조 및 판매한 10개 모델 28만 5천개 제품이 해당됨. 두 업체 모두 제품 리콜에 동의하지 않아, CPSC는 이 사안과 관련해 향후 취할 수 있는 조치를 검토하고 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 소비자, 교육자, 의료인 대상 식품보조제 교육 착수

FDA는 소비자, 교육자, 의료인 대상 식품보조제 교육 사업(Supplement Your Knowledge)에 착수함. 전체 미국인의 절반 이상이 비타민, 미네랄, 허브 등 식품보조제를 복용하고 있음. 소비자 대상 정보는 식품보조제 규제 방법 및 잠재적인 이익과 위험, 복용 상담 방법 등 중요 정보를 담은 영상과 팩트시트, 인포그래픽 자료를 제공함.

 미국
농무부
(USDA)

■ 식품 안전 관련 전체 게놈 시퀀싱 사용에 대한 논문 발표

USDA와 보건사회복지부는 식품보호저널에 ‘미국 식품 및 사료 안전 보장 목적 유전체학을 위한 연방기관 간 협력에 의한 전체 게놈 시퀀싱 사용’이라는 연구 논문을 발표함. 식품기인성 병원균을 감지하고 분류하며,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 게놈 시퀀싱 기술의 사용 및 해당 기술로의 변천, 식품기인성 병원균 분석, 조사 과정 시 다양한 방법론의 사용 및 기관 간 차이가 있는 접근법의 체계적 조율법을 기술하고 있음.

미국
농무부
(USDA)

■ 2016~2019년 분쇄 소고기로 인한 살모넬라 발병 사고 사후검토(AAR) 결과 게시

농무부의 식품안전검사국(FSIS)은 2016~2019년 기간에 발생한 분쇄 소고기 제품으로 인한 살모넬라 뉴포트 발병 사고 의 사후검토(AAR) 결과를 게시함.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금속 혼입 가능성 있는 Co-op 참치 통조림 제품 리콜

Co-op 참치 통조림(스프링워터 및 해바라기유 멀티팩 제품)은 금속 조각 혼입 가능성으로 건강 위험이 있어 리콜함. 해당 제품은 Co-op 매장에 반품하고 전액 환불을 받게 됨.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유명 브랜드 제품 보안 시험 결과, 해킹 가능성 확인

Which?가 삼성, 아마존, 구글 등 유명 브랜드 제품 8개를 구입해 보안 시험을 실시함. 삼성 갤럭시 S8 스마트폰, 구글 네스트 도어벨, 아마존 에코 스마트 스피커 1세대, 버진 미디어 슈퍼 허브 2 무선공유기, 써머 인펀트 Liv Cam 베이비 모니터, 필립스 스마트 TV, HP 데스크젯 프린터 등임. 일부는 아직 제조업체의 업데이트 지원을 받고 있었지만 대부분은 지원 기간이 종료돼 위험에 방치되고 있었음.
Which?가 수년간 캠페인을 실시한 이후, 정부에서는 제품보안 및 통신 인프라 법안을 도입해 의회를 통과 중임. Which? 측은 해당 법안에 오픈마켓 내 유통, 최소 업데이트 지원기간 명시, 보안 위험이 있는 스마트기기 소지 소비자 권리 부분이 미흡하여 상당한 경제적 피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함.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 화장품 및 장난감 규정 개정 관련 최신 정보 제공

화장품 규정 및 장난감 안전 규정 개정과 관련해 최신 정보를 추가 제공함. 식품 및 의약품 제외 소비자제품의 화학물질 안전 관련 과학자문단(SAG-CS) 평가 물질, 발암, 돌연변이, 생식독성 화학물질(CMR 물질)로 분류되는 물질, 알러지성 향료 관련 내용이며 시행일(2022.10.15.과 12.15.)에 대한 정보도 제공함.

독일
연방소비자
보호
식품안전청
(BVL)

■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 소비자 주의보 발표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미국산 Jif 땅콩버터에 대한 소비자 주의보를 발표함. 현재 독일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확인되지 않지만, 소비자가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제품을 구입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리콜 제품인지 확인하고 대상일 경우 섭취하지 않도록 당부함.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2022.4. 식품안전보고서 발표 : 99.9% 준수율

CFS는 2022년 4월 식품안전보고서를 발표함. 3,500여 개 식품 시료의 미생물, 화학물질, 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결과, 2개 시료를 제외한 99.9%가 기준에 부합했음.
부적합 시료는 법적 허용치를 초과하는 잔류 농약이 검출된 왕고들빼기와 케일임.
CFS는 이와 관련해 판매 업체에 검사 결과 통보, 해당 식품의 판매 중단 지시, 출처 추적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함.
일본
소비자청
(CAA)

■ 청년층 대상 제모제 사용 주의보 발표

청년층을 대상으로 제모제로 인한 피부장애 주의보를 발표함. 일본 전국 소비 생활센터 정보에 의하면 2019~20년 청년층의 상품·서비스 상담건 중 15~19세 남성의 제모제 관련 상담이 제일 많았음. 제모제 피해 상담은 10~20대 비율이 60%를 넘음.
제모제 구입 및 사용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음. ▲ 제모제는 의약외품임. 안면에 사용할 수 없는 등 용법, 용량이나 사용상 주의사항을 확인해 올바르게 사용함. ▲ 1회분을 우선 구입해, 사용 전 테스트를 해보고 본인의 피부에 맞는지 확인하고 사용함. ▲ 피부 이상이 생기면 사용을 중지하고,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피부과 의사의 진찰을 받음. ▲ 통신 판매로 제모제를 구입할 경우에는 해약 방법 등 계약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도록 함.

다음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606-220610)
이전글 EU 지식재산청, 청년 소비자 대상 온라인 위조상품 인식 설문조사 결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