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보건기구
(WHO) |
■ 4회 세계 식품 안전의 날 개최
6월 7일은 4회 세계 식품 안전의 날로 식품기인성 위험을 예방·발견·관리하고 식품 관련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주의를 촉구하고 조치를 동원하는 행사임. 올해 주제는 ‘더욱 안전한 식품, 더욱 나아지는 건강’임. 식품기인성 질병에는 설사부터 암에 이르기까지 200종류가 넘으며, 매년 전 세계 10명 중 1명이 걸림. (여러 국가의 식품 안전 당국이 행사에 참여해 보도자료 등을 발표하였음.)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 피부 병변 치료 제품 사용 주의보 발표
FDA는 점, 지루각화증(검버섯), 쥐젖을 치료하는 제품의 위험성에 관해 경고함. 해당 제품은 피부 부상, 감염, 흉터, 피부암 진단 및 치료 지연 등의 위험과 부작용이 있으므로 사용을 피하라고 권고함. 현재로서는 FDA의 승인을 받은 처방약 및 일반의약품은 없음.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안전 시험 통과 못한 자전거 헬멧 구입 금지 제품 지정
자전거 헬멧 Tony Hawk 실버 시그니처 시리즈 헬멧은 컨슈머 리포트가 실시한 안전 검사를 통과하지 못해 구입 금지 제품으로 지정함. 해당 헬멧은 3월에 리콜된 Dimensions Bluetooth Speaker 헬멧 교체품으로 제공된 제품임. 컨슈머 리포트가 2개 제품을 대상으로 턱끈 및 버클 유지 실험을 실시한 결과(2개 제품 모두 테스트를 통과해야 함), 제품 하나의 턱끈 버클이 파손됨.
컨슈머 리포트는 이 사실을 CPSC, 제조업체, 판매처 월마트에 알렸음. 제조업체 측은 해당 정보를 입수한 뒤 사설 공인 실험실에 제품 샘플을 보내 검사한 결과 모든 시험을 통과했다며 해당 제품은 안전하고 규정을 준수한다고 답변함. 또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CPSC에 연락했다고 답변했음. 본 제품과 관련된 부상은 접수된 바 없음.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문 경첩 파손돼 부상 위험 있는 Hisense 냉장고 리콜
Hisense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판매된 프렌치도어 냉장고 5만 5천대가 문 경첩이 파손돼, 냉장고 문 개폐 시 문짝이 떨어져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리콜함. CPSC 리콜 통지문에 따르면 139건의 사고가 접수되었으며 발 타박상 및 열상을 비롯한 부상 5건이 보고됨. 업체는 제품을 무상 교환해줄 예정임.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저절로 작동해 낙상 위험 초래하는 러닝머신 리콜
Nautilus 러닝머신은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저절로 작동돼 사용자의 낙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2개 모델 7,300여 대를 리콜함. CPSC 리콜 통지문에 따르면 러닝머신이 저절로 작동했다는 제보 21건을 접수 받았으며 부상 제보는 없음. 업체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용 USB 플래시 드라이브와 설명서를 무상으로 제공할 예정임. (*국내에 유통되는 것으로 추정돼 CISS 정보 2건 접수)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미 NHTSA, 테슬라 오토파일럿 시스템 조사 확대 시행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021.8. 테슬라 오토파일럿 관련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받자, 오토파일럿 조사를 실시했음. NHTSA는 테슬라 차량의 오토파일럿 운전자 지원 시스템에 대한 조사를 예비 평가에서 기술 분석으로 업그레이드했음. 이는 관련 분석을 확대한다는 의미임. 조사 대상은 모델 3, 모델 Y, 모델 S, 모델 X를 비롯해 2014~2022년 모델 전기차 83만여 대임.
전문가는 오토파일럿 등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은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작동하도록 디자인되었음에도 운전자가 시스템에 너무 의존할 수 있다고 경고함.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 유아 익사 및 익수사고 보고서 발표 및 물놀이 안전 당부
CPSC의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15세 미만 어린이의 익사 및 익수로 인한 부상은 여전히 높게 나타남. 코로나 규제 완화로 공용 풀장과 여름 캠프가 재개됨에 따라 CPSC는 유아 물놀이 안전을 당부함. 유아 익사 사고는 1~4세 유아 비의도적 사고의 주요 원인임. 2021년에 15세 미만 유아가 풀장, 스파로 인한 사고로 병원 치료를 받은 건은 6,800건으로 2020년에 비해 17% 상승했음.
|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 가정 내 가금류 접촉으로 인한 살모넬라증 조사 결과 발표
2022년 뒤뜰에서 키우는 가금류 접촉 관련 살모넬라증 발병 사고는 38개주에서 219건이 보고됨. 이 중 27명이 입원치료를 받았으며 사망자가 한 명 보고됨. 1/4는 5세 미만 어린이임. 다수가 병원 치료를 받지 않고, 또 살모넬라 검사도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감염자는 훨씬 많을 수 있음. 가금류는 건강하고 깨끗해보여도 살모넬라균을 보유할 수 있음.
|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 리콜 타이어 관련 소비자 주의보 발표
리콜하는 굿이어 타이어 대상 주의보를 발표함. 1996~2003년에 제조한 G159 타이어(사이즈: 275/70R22.5) 17만 여 개임. 해당 타이어는 트럭 및 캠핑카 등 레크레이션 차량용으로 판매되었으며, 고장 확률이 높음. 고속으로 주행 시 타이어에 문제가 발생하면 중상이나 사망할 수 있음. 해당 제품은 생산을 중단하였지만, 차량에 장착되어 있거나 스페어로 보유할 가능성이 있음.
NHTSA는 레크레이션 차량 및 22.5인치 림 장착 트럭을 소지·대여·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타이어를 확인하고 리콜 제품일 경우 무상 교환을 받으라고 촉구함. NHTSA는 캠핑카에 장착된 해당 타이어로 인해 사망 및 신체적 부상을 입었다고 주장하는 소송 정보를 접하고 결함 조사에 착수하였음.
|
유럽
식품안전청
(EFSA) |
■ 칸나비디올 안전성 평가 보류
유럽 집행위원회는 신식품 규정 하에 대마 유래 칸나비디올(CBD) 제품 신청을 다수 받아 EFSA에 CBD 섭취가 인체에 안전한지 의견을 구했음. EFSA 과학진은 CBD는 섭취 관련 잠재적 위험에 관한 정보 부족 및 불확실성으로 신식품으로 안전하다고 밝힐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림. CBD의 간, 위장관, 내분비계, 신경계, 정신에 대한 영향에 관한 데이터가 미흡함. 동물 연구 결과, 특히 생식과 관련해 상당한 부작용이 보였기에 인간에게도 이러한 영향이 확인되는지 알아내는 것이 중요함.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 보안카메라를 베이비 모니터로 사용 금지 경고
Which?는 보호자에게 보안 카메라를 베이비 모니터로 쓰지 말라고 경고함. 무선 보안 카메라는 잠자는 아기를 모니터하기 위한 저렴한 방법인 것 같고 자녀가 자란 후에는 보안 카메라로 용도 변경할 수 있어 현명한 선택인 것 같지만, 뷰 앵글 부적절, 온도 센서, 음향 감지 조명 등 중요한 베이비 모니터 기능이 없어 적합하지 않으며 여러 무선 카메라는 과거에 보안 이슈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도 있음. Which?는 베이비 모니터의 유형별 장점과 최근에 테스트한 추천 제품도 안내함.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 담배 제품 표시 규정 및 명령 개정(안) 발표
현재 담배 포장의 표시 규정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되지만, 흡연 관련 건강 위험 메시지의 효과성을 유지하고 최신 연구 및 과학을 반영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할 필요성이 있었음. 또한 기존에 모든 담배 제품에 표시문구가 표시되지는 않아, 포장에 건강 관련 메시지가 없는 제품은 덜 해롭다고 생각할 소지가 있었음. 이에 따라 6월 11일 캐나다 보건부는 담배제품규정 개정 규정(안)과 담배 및 전자담배 제품법 개정 명령(안)을 발표해 75일간 의견을 수렴함. 주요 내용은
- 건강 관련 메시지 갱신
- 전체 담배 제품 포장에 건강 주의문구 및 독성 정보 요건 확대
- 전체 담배 제품 대상 포장의 최소 75% 크기 건강 주의문구 표시
- 메시지가 더욱 눈에 띄도록 포장에 건강 정보 메시지 위치 변경
- 개별 담배 및 소형 시가에 건강 주의문구 표시
- 규정 개정 없이 최신 과학 및 조사 내용을 반영하도록 건강 관련 메시지 내용 업데이트 가능 등임.
|
뉴질랜드
소비자협회
(Consumer
NZ)
|
■ 자외선차단제 4개 검사 결과, 1개 제품만 기준 부합
컨슈머 NZ가 최근 자외선차단제 4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사 결과를 발표함. Smart365 Sunscreen Lotion SPF50+ 제품만 차단지수를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 제품(Hawaiian Tropic Silk Hydration SPF50+, Neutrogena Beach Defence Sunscreen Lotion SPF50, Oasis Sun Healthy Family Sunscreen SPF30)은 표시 수준에 미치지 못했음. 해당 제품의 제조업체들은 자사의 제품이 기준을 준수한다고 답변함.
|
싱가폴
보건과학청
(HSA) |
■ 기저귀 발진 크림 구입 및 사용 금지 주의보 발표
HSA는 기저귀 발진 크림 Star Cream의 구입 및 사용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4개월 영유아가 2주차일 때부터 기저귀 발진에 해당 크림을 발랐는데 스테로이드 독성으로 병원에 입원했음. 스테로이드 독성으로 인한 쿠싱증후군 진단을 받았음. 병원에서는 퇴원하였지만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함.
해당 제품은 온라인 플랫폼과 페이스북을 통해 판매되었으며, ‘천연 식물 추출성분만 함유’, ‘스테로이드 무함유’ 주장과 달리 제품 분석 결과, 강력한 스테로이드를 포함해 합성 의약품 성분 2종(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케토코나졸)이 검출됨. 해당 성분은 의사의 감시 하에 사용하지 않으면 영유아나 유아에게 심각한 건강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 HSA는 플랫폼에 게시된 제품 판매를 차단했으며 판매자와 공급업체에 해당 제품을 판매·공급 시 강력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함.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 시부트라민 성분 검출된 다이어트 제품 주의보 발표
후생노동성과 니시노미야시, 지바시는 의약품 성분 시부트라민을 함유한 제품에 대한 섭취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Detoxeret Jelly 제품으로 해당 제품과 인과관계가 의심되는 건강피해가 2건 보고됨.
- SNS를 통해 구입한 해당 제품을 2주간 섭취한 후 가슴 두근거림, 구갈(mouthache), 두통, 현기증 등이 생겼지만 섭취를 중단하자 회복함.
- 섭취 후 두통, 가슴 두근거림, 화끈거림, 메스꺼움 등이 생겼지만, 섭취를 중단하자 회복함. (섭취 기간 불명)
시부트라민은 비만억제제로 FDA의 허가를 받았지만 부작용이 다수 보고되며, 일본에서는 미승인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