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가정용 LED 마스크 안전
가정용 LED 마스크가 다수 판매 중임. 구입 전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사용 시 제조업체의 지시를 따르고 권장하는 시간 동안만 써야 함. LED 조명 치료는 단기간은 안전하지만 장기 안전에 대한 조사는 적음.
눈 건강과 관련해 LED 마스크는 대부분의 제품에서 조명이 눈에 직접 향하지 않도록 디자인되어 대개 안전하지만, 착용 시간, LED 빛의 강도, 착용 시 눈을 떴는지에 따라 위험할 수도 있음. 빛을 쬐는 치료는 고글 등으로 눈 보호가 필수임.
선천적인 망막 장애 등 안과 관련 특정 증상자 또는 빛에 더욱 민감하게 만드는 특정 약물 복용자는 해당 기기 사용 시 주의해야 함. 청색광 또는 적색광에 장기간 노출되면 일부 환자들은 시야 흐림, 안구 통증, 안구 자극, 시력 변화 같은 증상을 겪을 수 있음.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설문 결과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사용 및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도로안전단체가 운전자에 차선유지보조, 자동차선변경, 운전자 모니터링 등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에 관해 질문했을 때 운전자들이 해당 기능을 원하지만, 이러한 기능 사용 시 운전자 부주의 위험을 알고 있으며 운전자가 계속해서 도로를 주시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시스템의 도움을 받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운전자 대부분은 차량이 자신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 더욱 안전하다고 느낄 것이라고 대답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CPSC 링크 |
■ 영유아 수면 제품 안전 표준 시행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5개월까지 영유아용 침대는 연방 규제 제품 5종(일반 아기침대, 그 외 아기침대(non-full-sized cribs), 요람, 플레이야드(play yard), 성인 침대 옆에 설치하는 침대) 중 하나의 안전 표준을 준수하도록 요구하는 규정을 승인해 시행됨. 기존 표준에서 다루지 않는 제품에는 인클라이너(각도가 10도 이상인 제품), 침대 내 침대(아기와 부모가 침대를 공유하게 하는 제품), 베이비 박스, 해먹, 스탠드가 없는 소형 요람임. 이제 표준을 준수하지 않는 제품은 판매할 수 없으며 6월 23일부터 제조되는 제품에 적용됨. 미국 소아과학회도 이에 따라 영유아 수면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했음. 보호자들에게 연방안전표준에서 관리하는 수면 제품만 사용하며 영유아와 침대를 같이 쓰지 않도록 촉구하는 내용임.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 최대 니코틴 기준 설정하는 담배 규정(안) 마련 계획
FDA는 담배 및 기타 연소 담배 제품의 중독성을 경감시키기 위한 규정(안) 개발 계획을 발표함. 청년층의 이용·중독· 사망 경감 목적으로 담배의 최대 니코틴 기준을 설정하고자 함. 니코틴은 매우 유독하지는 않지만 금연을 힘들게 만드는 성분임. 신규 제품 표준은 담배 제품의 중독성을 최소화하거나 없애게 될 것임.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 전자담배 JUUL 제품 전체에 유통거부명령 발부
FDA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전자담배 JUUL 제품 전체에 대해 유통거부명령(marketing denial order)을 발부했음. 대상 제품은 JUUL 기기 및 JUUL 팟 4개 유형임. 해당 제품 사용으로 인한 잠재적인 독성 위험을 평가하기 위한 증거가 미흡하다고 확정했기 때문임. 업체는 제품 판매 및 유통을 중단해야 하며, 미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판매 차단하거나 조치를 취해야 함. 본 명령은 상업적 유통·수입·소매 판매에만 해당되며 개인의 소유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
|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 유아 카시트의 측면 충돌 사고 시험검사 요건 업데이트
측면 충돌사고로 인해 중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어린 아동들이 다수임. NHTSA는 측면 충돌 사고 시 어린이 보호를 개선하기 위해 카시트 시험검사 요건을 업데이트하는 최종 규정을 발표함. 이는 연방자동차안전표준 213항‘유아 구속 시스템’을 개정하는 것임. 현재 표준은 30-mph 전면 충격을 시뮬레이팅하는 시험검사에서 성능 기준을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30-mph 측면 충격을 추가하는 것임.
|
호주
경쟁소비자
위원회
(ACCC) |
■ 단추형 전지 의무 표준 시행
6.22.자로 단추형 전지 의무 안전 및 정보 표준이 시행됨에 따라 단추형 전지 또는 단추형 전지 포함 제품 공급 사업자에게 표준 준수를 촉구함. 신규 표준 하에 단추형 전지 단자함은 반드시 고정되어야 하며, 단추형 전지는 어린이보호포장에 공급해야 함. 제품과 배터리에 주의문구를 추가하고 배터리, 포장, 사용설명서에 응급조치 내용이 들어가야 함. 제품은 또 표준 준수 검사를 반드시 받아야 함.
|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 프랑스산 하겐다즈 바닐라 아이스크림 섭취 금지 주의보 발표
CFS는 대만에서 프랑스산 아이스크림 2종(Haagen-Dazs Vanilla Ice Cream Pint, Haagen-Dazs Vanilla Ice Cream Bulk) 제품에 유럽연합에서 승인하지 않는 살충제 에틸렌옥사이드 성분이 검출되었다며 섭취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홍콩에 수입된 것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임.
|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 조리 채소 냉장고 보관 시 아질산염 함량 변화 조사 결과
CFS는 조리한 채소를 냉장고에 밤새 보관하면 아질산염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한다는 소문이 유포되어, 사실 확인을 실시함. 흔하게 섭취하는 5종 채소(아마란스, 청경채, 꽃양배추, 양상추, 애호박)를 조리한 후 냉장고에 밤새 보관한 후에 검사한 결과, 아질산염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냉장고에 3일관 보관해도 아질산염 함량은 낮은 수준이었음. 상온 보관 시 조리한 채소의 아질산염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냉장 온도는 박테리아를 비활성화시키며 아질산염 형성은 지연시켰음.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 2021.9.~10. 전국 식품 방사성 물질 조사 결과 발표
2021년 9~10월 전국 15개 지역에 실제로 유통되는 식품을 구매해 실시한 식품 방사성 물질 조사 결과를 발표함. 식품의 방사성 세슘으로부터 1년간 사람들이 받는 방사선 선량은 0.0005~0.0008mSv/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현재 기준인 1mSv/년이라는 연간 상한선량의 약 0.1%로 극히 낮다고 확인됨. 방사성 세슘 농도가 0.5Bq/kg 이상인 시료인 경우, 방사성 스트론튬 및 플루토늄도 조사하기로 되었는데, 해당되는 시료는 없었음.
|
일본
경제산업성
(METI) |
■ 인터넷 거래 사업자 · 소비자 · 특정 사이트 이용자 대상 제품안전법 관련 정보 게시
경제산업성은 인터넷 거래 시 제품 안전 웹페이지에 제품안전법 이해를 돕기 위해 인터넷 거래 사업자 및 소비자, 경매 사이트 및 벼룩시장 사이트 이용자 대상 정보를 추가 게시함. 제품안전법, 대상 제품, PS마크, 리콜 정보 확인 등의 내용을 알려줌. |
일본
경제산업성
(METI) |
■ 자성 강한 네오디뮴 자석 세트 판매업체 조치 요청
어린이가 자성이 강한 네오디뮴 자석 세트를 삼켜 개복 수술을 받은 사고가 여러 건 발생함. 소비자안전조사위원회의 요청으로 경제산업성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자석세트를 판매하는 업체에 다음의 조치를 취하도록 요청함. ▲ 자석 세트의 제품 설명 및 표시에 사용 연령을 14세 이상으로 표기 ▲ 어린이가 실수로 삼켜 개복 수술을 받은 심각한 사고가 다수 발생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아이들이 만지지 않도록 경고함. ▲ ‘어린이’, ‘부모와 자녀’, ‘장난감’, ‘지적 교육’,‘교육’등 아동의 사용이나 유아 교육 관련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어린이의 사진이나 일러스트를 사용하지 않음. ▲ 플랫폼 운영자는 이를 준수하는지 판매페이지 확인 등 후속조치를 취하라고 내용임.
|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 식품 안전 전자저널 ‘식품안전’ 10권 2호 게시
FSC의 전자저널‘식품 안전’10권 2호가 게시됨. 내용은 ▲ 전문가가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식품 안전 정보의 중요성과 우선순위 비교 ▲ 최근 마련한 FSCJ(일본 식품안전위원회) 가이드라인에 중점 : 식품 접촉 재료의 위험성 평가, ▲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로서의 납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