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 FDA, 조개 통조림 등 수산 식품의 과불화화합물 조사
FDA는 생선 8종으로 된 시료 81개의 과불화화합물(PFAS) 20종 검사를 실시함. 60개 시료에서 한 종 이상의 PFAS가 확인되었으며, 조사한 10개 조개 통조림 전부에서 PFAS가 높은 수준으로 검출됨. PFAS 종류인 PFOA를 20,000ppt 함유한 시료도 있었음. 식품의 PFOA 안전 기준은 없지만 지난달 환경보호청은 식수의 PFOA 안전 기준을 0.004ppt로 결론 내린 바 있음.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Bumble Bee Foods사는 자발적 리콜을 발표했으며, FDA는 소비자에게 조개 통조림 섭취를 줄이라고 경고함. 하지만 그 외 연체동물(어패류 중 단각류, 쌍각류, 두족류, 갑각류 등) 제품을 대상으로 유사한 경고를 발표하지는 않았음. 유독성 PFAS는 조개 통조림 같은 연체동물 및 그 외 해산물의 체내에 축적될 수 있음.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벌레기피제의 효과 및 안전성 관련 정보 제공
벌레기피제는 모든 제품이 동일한 보호 효과를 제공하지는 않음. 브랜드나 제품 유형(스프레이, 로션, 물티슈 타입) 보다는 활성 성분과 농도가 관건임.
컨슈머 리포트는 제품 검사를 실시하고 추천 제품 목록을 제공하는데 농도가 25~30%인 디트, 레몬 유칼립투스 30%, 피카리딘 20% 함유 제품의 보호 효과가 괜찮은 편임. 디트,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과 피카리딘의 효과와 안전성, 같은 활성성분을 함유한 벌레기피제의 효과가 다른 이유, 천연 벌레기피제의 효과가 떨어지는 이유, 벌레기피제를 바르는 방법, 추천 제품 정보를 수록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 불필요한 기생충 해독요법
인터넷에 기생충 해독 정보가 유포되고 있음. 동종요법 또는 자연요법 치료는 유사과학에 근거하는 것으로, 기생충이 있다면 제일 중요한 건 진단을 받는 것임. 효과적인 기생충 치료 방법이 있기 때문임.
기생충 해독을 위해 식품보조제를 복용하는 경우, 보조제는 의약품과 달리 FDA의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할 가능성도 있음. 또 미생물, 중금속, 불법 또는 처방약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부작용과 처방약과의 상호작용 가능성도 있음.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 화재 위험 있는 히터 정보 즉각 제보하지 않은 보네이도사 750만 달러 벌금 지불 합의
보네이도사는 VH101 개인용 보르텍스 전기 히터가 과열돼 화재가 발생하며 화상 또는 사망 위험을 초래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소비자 화재사고 여러 건을 조사했음에도 법에서 요구하는 바와 달리 CPSC에 즉각 통보하지 않아 750만 달러의 벌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함. 해당 업체는 소비자제품안전법 준수를 보장하는 규정준수 프로그램 운영 및 정보 통보 관련 내부 직원 관리, 이와 관련해 3년간 연간 보고서도 제출해야 함. 2018.4.4. 보네이도는 해당 제품을 리콜하였으며 2018.8. 리콜을 재발표하였음.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 동물용 식품 안전 관련 업계 가이던스 최종본 발표
FDA는‘업계용 가이던스 245호 : 동물용 식품의 위험 분석 및 위해 기반 예방적 관리’를 최종 발표함. FDA의 식품안전현대화법의 위험 분석 및 위해 기반 예방적 관리 요건 대상인 동물용 식품 시설이 사람이나 동물에게 질병이나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고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식품안전계획 개발을 지원하는 문서임.
|
유럽
식품안전청
(EFSA) |
■ 화학물질 위험 정보 데이터베이스 홍보 인포그래픽 게시
EFSA의 화학물질 위험 정보 데이터베이스 오픈푸드톡스(OpenFoodTox)를 소개하는 인포그래픽을 게시함. 해당 데이터베이스는 식품 및 사료의 화학물질 5,600개와 2002년 이후로 발표된 평가 문서 2,250건을 수록하고 있음.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화학물질의 특성, 규정, EFSA 평가자료, 독성, 참고기준 등의 정보를 참고할 수 있음.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 자동차 시험 결과, 6개 차량 전체 평점 4점 이상 획득
자동차 안전시험기관 Euro NCAP은 전기차를 비롯해 기아 스포티지(★★★★★), 알파로미오 Tonale(★★★★★), 메르세데스벤츠 T-클래스(★★★★★), BMW i4(★★★★☆), 쿠프라 Born(★★★★★), 토요타 Aygo X(★★★★☆) 차량을 시험했음. 충돌 시 승차자 보호 방식과 자동긴급제동장치 등 안전시스템 적용 여부 등을 고려함.
|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
■ 가열 헤어 브러시 제품, 화재 위험 있어 사용 중단 주의보 발령
OPSS는 가열 헤어 브러시 제품(One Step model SM-5250과 유사 제품)의 사용 중단 주의보를 발표함. 정상적으로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화될 수 있기 때문임.
해당 제품은 2020년 유럽 집행위원회 제품안전정보 사이트 Safety Gate에 제품 정보가 게시되었음. OPSS는 최근 오픈마켓을 통해 관련 제품을 구입해 시험한 결과, 전체가 규정을 준수하지 않았고 다수 제품에서 화재가 발생해 긴급 주의보를 발령함.
소비자는 브랜드가 다르더라도 리콜 제품과 디자인이 비슷하면 즉시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판매자에 연락해 환불을 받도록 함.
|
독일
연방위해
평가원
(BfR) |
■ 과학 잡지 BfR2GO 2022년 1호 발간
BfR이 6개월에 한 번 소비자 건강 보호 관련 평가 및 최신 연구 정보를 간결하고 쉽게 소개하는 잡지 BfR2GO 2022년 1호를 발간함. 주요 내용은 ▲ BfR 설립 20주년을 맞아 연구소 설립과 운영 방식, 향후 과제 ▲ 전염병 유행 시 과학 정보 커뮤니케이션 방식 ▲ 루핀 씨앗 및 쓴 맛(알칼로이드)의 식품 안전 ▲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여행 시 식사 관련 주의사항 ▲ 화학물질 노출의 사전 추정 및 평가 방법 ▲ 특정 문신 잉크 금지임.
|
독일
연방위해
평가원
(BfR) |
■ 미세 플라스틱 입자의 건강 영향 연구
BfR은 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조사함. 플라스틱의 풍화 및 부패, 자동차 타이어의 마모, 의류 등의 원인으로 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환경에 유입됨. 그 결과, 식음료를 통해 미세 플라스틱 입자를 흡입하거나 섭취할 수 있음. 현재 과학적 지식에 따르면 미세 플라스틱은 인체 건강 위험이 비교적 낮다고 간주됨.
연구 결과 미세플라스틱은 세포에 소량만 침투했지만 더 작은 입자는 장 및 간 세포에서 더 많은 양이 측정될 수 있음. 이러한 입자가 세포의 정상적인 대사를 방해할 수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후속 연구가 필요함.
|
캐나다
교통국
(Transport
Canada) |
■ 통학버스 안전 개선하는 규제 개정(안) 발표
캐나다 교통국은 통학버스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규제 개정(안)을 발표함. ▲ 캐나다에서 모든 신규 및 수입 통학버스는 연장한 정지표시장치와 운전자가 주변을 더욱 잘 볼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시야 시스템 장착 ▲ 자율 단속 카메라 장착 : 법집행기관이 통학버스 주변의 운전자 위험 행위를 포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이는 인근 차량이 정지한 통학버스를 불법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버스 운전자가 버스 밖의 어린이를 볼 수 있도록 통학버스 안전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됨. |
호주
뉴사우스
웨일즈
식품청
(NSW) |
■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에틸렌옥사이드 오염돼 리콜
프랑스산 하겐다즈 바닐라 457ml, 클래식 컬렉션 미니컵 4x95ml 제품이 에틸렌옥사이드에 오염돼 리콜함. 에틸렌옥사이드 함유 식품은 섭취 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음. 해당 제품은 Coles 매장 등을 통해 호주 전국에 유통됨. 소비자는 제품을 구매처에 반품하고 전액 환불을 받게 됨.
(*지난번 홍콩에서 리콜한 제품과 용량과 구성이 다름.)
|
호주
식약청
(TGA)
|
■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는 피부연고 리콜
루카스 포포크림이 미생물 오염으로 인해 15g, 75g, 200g 용량 제품 특정 배치를 리콜함. 해당 제품은 경미한 피부 상처, 피부 건조함, 피부 쓸림 증세를 치료하는 국소 연고임. 제품에서 아스퍼길루스 투빈젠시스 곰팡이, 소르다리아 휴마나, 페니실리움 파네움, 파에니바실러스 글루카놀리티쿠스 미생물이 확인됨. 해당 곰팡이와 박테리아는 일반인에게는 위험이 거의 없지만 면역저하자에게는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희박하게나마 존재함. 소비자는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구매처에 제품을 반품한 뒤 환불을 받게 됨.
|
일본
경제산업성
(METI) |
■ 전기용품 취급 수입업체의 의무 게시
경제산업성은 전기용품 취급 수입업체의 의무 정보를 게시함. 전기용품안전법 의무 이행, 리콜 실시 책임, 중대제품사고 발생 시 소비자청 보고 의무, 제조물 책임법 적용 대상임을 알리는 1페이지 정보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