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711-220715)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711-220715)
작성자 백주석 조회수 720 등록일 2022-07-20 16:28:01
분류 국외 출처 위해정보팀
첨부파일
해외  2022.7.11. ~ 7.15.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실험 결과 대다수 어린이 소변에서 글리포세이트 검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2013~2014년에 수집한 어린이 650명의 소변을 분석한 결과, 약 87%에서 유독성 제초제 글리포세이트가 검출됨. 글리포세이트는 바이엘사의 라운드업의 활성 성분으로 전 세계 관행 농업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농약임.
2015.3. WHO의 국제암연구소(IARC)는 글리포세이트를 인체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했음. 2019.4. 미국 독성물질 및 질병등록청은 글리포세이트가 비호지킨 림프종과 연관성이 있다는 결과를 발표하며 어린이 노출 모니터링을 권고한 바 있음.
18세 이하 어린이가 글리포세이트에 노출되는 주원인은 식품임. EWG 및 기타 관련 단체는 비유기농 후무스와 병아리콩, 시리얼 등 미국 성인과 유아가 즐겨 먹는 식품에서 글리포세이트를 검출한 바 있음. 바이엘사는 2021년에 미국에서 2023년까지 글리포세이트를 주거용으로 판매하지 않겠다고 발표함.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미국 상하원, 신규 식품 안전 연방기관 설립법 도입

미국 상하원의원은 조사, 질병 발병 시 대응 및 연구 등 식품안전 업무를 수행하게 될 독립된 연방기관을 새로 설립하는 내용의 식품안전관리법(2022)을 도입함. EWG는 이를 반기는 입장임.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퍼메트린 살충제 처리 의류의 효과성 및 안전성 정보

살충제인 퍼메트린 처리 의류의 효과성 및 안전성 정보를 안내함. 퍼메트린은 모기보다는 특히 진드기 물림을 예방하는 데 유용하며, 피부에 뿌리는 벌레기피제 스프레이보다 오래감.
퍼메트린은 피레트로이드로 알려진 살충제군이며, 연구 결과 건강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 위험 증가, 내분비교란 등과 관련있다고 알려져 있음. 전문가가 아닌 본인이 직접 퍼메트린을 옷에 뿌린다면 반드시 농업용이 아닌 의류용 스프레이를 사용하고 옷을 입은 채로 분사하지 않음. 옷은 스프레이를 뿌리고 입기 전에 완전히 말림. 또 독성이 강하므로 반려동물 주변에 뿌리지 않음.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배터리 화재 위험 있는 King Song 전기 외발자전거 사용 금지 주의보 발표

CPSC는 배터리 화재 위험이 있는 King Song 전기 외발자전거(모델: KS-165)의 사용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CPSC가 제품을 테스트한 결과, 배터리팩이 과열돼 화재 위험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됨. 업체는 제품 리콜을 거부함. 소비자는 해당 제품의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 재활용 시설이나 가정용 유해 폐기물 수거지에 제품을 폐기하라고 촉구함. 관련 사고로 화재 1건이 발생했으며 소비자 2명이 연기를 흡입하고 상가 건물에 상당한 재산 피해를 입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 의약품 성분 함유 꿀 관련 제품 판매한 4개 업체에 경고장 발부 및 17개 제품 정보 공표

FDA는 소비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꿀 제품을 불법 판매한 4개 업체에 경고장을 발부하고 관련 제품 17개를 공개 통보했음.

해당 제품은 다양한 웹사이트와 오픈마켓에서 성기능 개선제로 광고하고 판매한 제품으로 일부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판매했을 가능성이 있음.
FDA 검사 결과 해당 제품은 타다라필과 실데나필을 비롯해 의약품 성분을 라벨에 표기하지 않고 함유하고 있었음. 타다라필과 실데나필은 남성 발기 부전 치료용으로 FDA가 승인하는 의약품임. 해당 성분은 일부 처방약의 질산염과 반응할 수 있어 혈압을 위험한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어 위험함.
미국
식품의약국
(FDA)

■ 총 식단 연구 보고서 발표

FDA는 ‘총 식단 연구(Total Diet Study, TDS) : 2018~2020회계연도 성분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 테이블’보고서를 발표함. FDA가 식품안전 및 영양 관련 조치의 우선순위를 매기는데 활용하는 자료임.

미국
국립보건원
(NIH)

■ 임신기 프탈레이트 노출 시 조산 확률 증가

NIH가 미국의 임산부 6,000명 이상을 조사한 연구에 의하면 임신기 중 다양한 프탈레이트에 노출된 임산부는 조산할 위험이 높았음. 임산부에게 발견된 11종 프탈레이트 중 4종 물질에 노출 시 조산 확률이 14~16% 높아졌음. 조산은 태아와 산모 둘 다에 위험함. 매니큐어, 화장품 같은 개인관리제품에서 흔하게 쓰이는 프탈레이트에 대한 노출이 가장 일관적으로 나타남.

미국
농무부
(USDA)

■ 살모넬라균 발병 비율 변천사 분석 자료 발표

미국 농무부 내 식품안전검사국(FSIS)은 저널 《전염병학 & 감염》에 ‘미국의 12종 전반적 원자재군 관련 살모넬라균 발병 비율의 시간적 변화’자료를 발표함. 1998~2017년에 12개 원자재군의 식품기인성 살모넬라균 발병 비율의 변천사를 분석하는 자료임. 추세를 보면 달걀, 돼지, 씨앗 채소에서 상당한 변화가 관측됨. 돼지의 살모넬라 오염도는 상당히 증가했는데 1998~2017년 기간 4%에서 18%로 증가함. 돼지 제품의 살모넬라 관련 실행 표준(안)에 대해 수렴한 공공 의견과 함께 이 자료 결과를 바탕으로 돼지 살모넬라병을 경감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할 예정임.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자외선차단제 관련 9가지 주의사항 안내

영국 암연구소에 따르면 영국 흑색종 피부암 사례의 86%는 예방 가능하다고 함. 자외선차단제와 관련해 흔히 저지르는 9가지 실수를 알려줌.
▲ 자외선차단제를 충분히 바르지 않고, 자주 덧바르지 않음.
▲ ‘하루에 한 번’, ‘방수’광고 문구를 맹신함.
▲ 오래되거나 사용기한이 지난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함.
▲ 햇볕에 나가기 전까지 자외선차단제를 바르지 않음 : 외출 2~30분 전에 바르는 게 이상적임.
▲ SPF 지수의 의미를 오해함.
▲ 귀, 코, 헤어라인을 비롯한 이마, 목 뒤 등 신체 중 노출되는 부분을 빠뜨림.
▲ 일부 약품은 햇빛 민감성을 높인다는 사실을 모름.
▲ 자외선차단제가 아닌 자외선차단기능 화장품에 의존함.
▲ 피부가 검은 경우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암 위험이 높지 않다고 생각함 : 피부가 검은 사람들은 자외선차단제 사용, 일광화상 보고 및 피부암 검진 확률이 낮다는 조사 결과가 있음.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 가열 헤어 브러시 및 드라이어 모델 사용 금지 주의보 재차 발표

OPSS는 가열 헤어 브러시 및 드라이어 모델(One Step 모델 SM-5250)의 사용 금지 주의보를 재차 발표함. 지난주 주의보와 차이점은 OPSS가 관련 제품에 대한 리콜 통지문을 게시했다는 점임. 해당 제품은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발화될 수 있음. 다양한 브랜드명으로 판매될 수 있으므로 디자인이 유사한 제품도 주의해 확인하도록 함.

아일랜드
식품안전청
(FSAI)
■ 식품첨가제로 이산화티타늄 승인 취소 (’22.8.7. 발효)

이산화티타늄(E171)은 색소로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로, 식품을 보기 좋게 하는 역할을 함. 빵, 수프, 소스, 샐러드, 견과류 가공품, 디저트 등 다양한 식품에 사용됨. 2021.5.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이산화티타늄을 식품첨가제로 사용했을 때 안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 의견을 발표했고, 이러한 의견에 따라 2022.1. 식품첨가물 사용 승인을 취소하는 규정(위원회 규정(EU) 2022/63)이 채택돼 2022.8.7.부터 유럽 연합에서 이산화티타늄은 더 이상 식품첨가제로 승인하지 않게 됨.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피셔프라이스 바운서, 수면용으로 사용 금지 주의보 발령

캐나다 보건부는 피셔프라이스사 바운서(Infant-to-Toddler Rockers, Newborn-to-Toddler Rockers)를 수면용으로 사용하지 말라는 주의보를 발표함. 제품을 사용할 때 아기는 절대 혼자두거나 안전벨트를 채우지 않은 채로 두지 않아야 함. 경사가 있는 유아용 제품은 유아가 수면 중 질식할 수 있어 위험함.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에 따르면 2009~2021년 기간에 피셔 프라이스 바운서에서 잠자던 유아 최소 13명이 사망한 바 있음.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식품 안전 위험 분석 해설 영상 게시

<음식의 기본 지식 : 소비자 신뢰와 연결되는 식품 안전> 동영상을 게시함. 본 영상은 2013년에 FSC에서 실시한 위험 분석을 해설한 편집본으로, 식품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고자 함.

다음글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 배터리 결함에 의한 화재 및 부상 위험이 있는 King Song 전기 외바퀴자전거 사용 중단 권고
이전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704-22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