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725-220729)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725-220729)
작성자 백주석 조회수 293 등록일 2022-08-05 17:33:59
분류 국외 출처 위해정보팀
첨부파일
해외  2022.7.25. ~ 7.29.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트로판 알칼로이드 오염 가능 나쵸 과자, 섭취 금지 주의보 발표

독일산 Santa Maria 브랜드 Tortilla Chips Organic 나쵸 과자가 트로판 알칼로이트 아트로핀 및 스코폴라민 오염 가능성이 있어 섭취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원인은 제조 성분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됨. 수입업체는 제품 판매를 중단하고 매대에서 제품을 회수했으며 리콜에 착수함.

트로판 알칼로이드 아트로핀 및 스코폴라민 오염 제품 섭취는 동공 팽창, 심박수 변화, 구강 건조, 피부 홍조 같은 단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 해당 성분은 몸에서 배출되므로 장기적인 부작용은 없음.
세계
보건기구
(WHO)

■ 세계 익사 예방의 날 맞아, 익사 예방 조치 촉구

세계 익사 예방의 날을 맞아 WHO는 익사 예방 조치를 촉구함. 90% 이상의 익사 사고는 저소득 및 중간소득국가에서 발생하며 5세 미만 어린이의 위험이 가장 높음. WHO는 ▲ 물 근처 차단막 설치, ▲ 안전 구조 훈련, ▲ 학령기 아동에게 기본적인 수영 및 안전 기술 교육, ▲ 어린이에게 감독자가 있는 보육 제공, ▲ 보트 안전 관리, 선박 및 페리 규정, ▲ 홍수 위험 관리 개선 조치를 권고함.

올해 주제는 익사 예방을 위한 ‘한가지 행동’인데 개인에게는 익사 예방 및 물 안전 정보를 가족, 친구, 동료와 공유하고 수영 또는 물 안전 수업 등록 또는 지역의 익사 예방 단체 지원을 권함. 또 국가에는 새로운 익사 예방 정책·전략·법 또는 투자를 개발하거나 발표하고, 익사 관련 여러 영역의 관계자 대상 라운드테이블회의 또는 의회 토론 개최, 국내외 익사 예방 프로그램을 도입 및 지원을 장려함.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임상의 대상 환자의 과불화화합물 노출 경감 가이던스 문서 발표

미국 국립과학기술의약아카데미(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는 과불화화합물(PFAS)에 과다 노출된 이력이 있는 사람에게 의료 검진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발표함. 또 임상의에게 환자의 PFAS 노출을 경감시키는 방법을 알려줌.

식수로 인한 PFAS 노출은 매우 적은 양이라도 백신 효과 감소를 비롯해 면역계 저하, 출생 체중 감소, 난임 등 발달 및 생식계 피해, 특정 암 위험 증가, 콜레스테롤 변화 및 체중 증가 등 신진대사에 영향, 콜레스테롤 증가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짐.

EWG는 EPA의 산업용 PFAS 방출 제한 조치가 너무 지연된다며 PFAS 오염 가능 폐기물 시험, PFAS 폐기물의 적절한 폐기, PFOA 및 PFOS를 연방정화법 하에 유해 물질로 지정할 것을 촉구함.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명칭 표준화 작업 소개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은 브랜드별로 명칭이 달라 차량 구매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음. 컨슈머 리포트는 차량을 구입하는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도록 관련 단체 및 기관과 공조해 용어를 표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음. 2020년에 첫 목록을 발표했으며 운전자 모니터링, 차선유지보조 등의 기술을 업데이트했음. 자동차 제조사들에 새 명칭을 사용하도록 강제하지는 않지만 해당 용어는 업계의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2020.1. 교통부의 보증도 받았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 원포자충 예방 및 조사 활동 요약하는 최신 자료 발표

FDA는 원포자충 예방 및 조사 활동에 관한 최신 자료를 발표함. 원포자충은 식품기인성 장 질환인 원포자충증을 유발하는 기생충임. 오염된 식품이나 물을 섭취함으로써 감염될 수 있음. 일반적인 원포자충증 증상은 설사, 체중 감소, 메스꺼움, 피로임. 2021년 FDA가 원포자충 예방, 대응, 조사 조치 계획을 발표한 이후의 활동에 대해 요약하고 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 냉장 및 냉동 베리 식품 안전 개선 전략 개발
FDA는 냉장 및 냉동 베리의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식품안전예방전략을 개발하고 있음. 해당 식품 섭취에 따른 A형 간염 및 노로바이러스 발병 전력에 대응해 마련하는 것임.

미국에서 1990~2016년에 냉동 베리와 관련해 A형 간염 4건, 노로바이러스 감염 3건이 발생함. 2011년 이후로 현재 냉장 유기농 딸기의 A형 간염 오염건을 포함해 냉장 베리와 관련된 A형 간염 감염건은 3건이었음.

냉동 과정은 식품을 보존해주지만 일반적으로 감염된 노동자, 오염된 물 및 식품접촉표면 등 공급망의 다양한 과정에서 도입될 수 있는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해주지는 않음. 더구나 냉장 베리는 보통 생으로 먹는 식품임.

FDA는 코로나19 시작으로 중단했던 냉동 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 테스트를 8월에 재개하고 업계, 학계, 규제당국과 공조해 식품안전 예방전략을 개발할 계획임.

미국
식품의약국
(FDA)

■ 라식 수술의 이익과 위험 커뮤니케이션 목적 가이던스 초안 발표

FDA는 라식 수술의 이익과 위험을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환자와 의료인 대상 가이던스 초안 「라식 레이저 – 환자 표시사항 권고」를 발표함. 라식 수술은 안구 건조, 통증, 불편감, 시력 증상 등 잠재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제안하는 표시사항 권고는 읽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라식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며 라식 수술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시력 증상을 전달하는 이미지를 포함함. 환자가 수술 전에 의사와 수술의 이익과 위험을 논의하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마련한 문서임.

미국
식품의약국
(FDA)

■ 유전자 치료 관련 소비자 정보 게시

FDA는 유전자 치료 관련 소비자 정보를 게시함. FDA는 암 및 희귀 질병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 치료 제품을 승인한 바 있음. 해당 정보는 유전자·세포·그들의 상호작용 방식, 유전자치료 작동 방식, 안전 및 효능 관련 내용을 수록함.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여러 브랜드 완하제, 미생물 오염 위험으로 리콜
 

Equate, Personnelle, Life Brand 3개 브랜드 완하제 용액이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어 리콜됨. 미국에서 같은 공장에서 제조한 유사 제품을 리콜함에 따라 예방 차원에서 리콜하는 것임. 미국에서 리콜한 제품에는 글루콘아세토박터 리퀘파시엔스균이 검출됨. 오염된 제품 복용은 복부 불편감 또는 복통, 설사, 메스꺼움, 구토 증상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어린이, 임산부, 고령자, 면역저하자는 미생물 오염에 더욱 취약할 수 있음.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보행기 제품 사용 금지 주의보 발표

캐나다 보건부는 아마존 캐나다에서 판매된 LIKCO 브랜드 보행기(Baby Walker Interactive Baby Walker with Music 4 Height Adjustable (Green) Anti-Rollover Child Walker for 6-24 month babies) 사용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제품 결함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캐나다에서 보행기 사용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임. 보행기를 탄 어린이는 계단 낙상 등으로 인한 추가적인 여러 부상 위험이 있다는 이유임.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2022.6. 식품안전보고서 발표 : 준수율 약 99.9%

CFS는 2022년 6월 식품안전보고서를 발표함. 6,800여 개 식품 시료의 미생물, 화학물질, 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결과, 8개 시료를 제외한 약 99.9%가 기준에 부합함.

부적합 시료는 법적 허용치를 초과하는 방부제가 검출된 미조리 만두피와 건조 죽생, 미허용 방부제가 검출된 포장 돼지 육포, 리스테리아균 오염이 의심되는 포장 냉장 훈제 연어,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과다 함유한 볶음밥, 법적 허용치를 초과하는 총균수가 확인된 냉동 디저트, 법적 허용치를 초과하는 농약이 잔류하는 채심, 이산화황이 함유된 냉장 소고기였음.

CFS는 이와 관련해 판매 업체에 검사 결과 통보, 해당 식품의 판매 중단 지시, 출처 추적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함.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어린이 대상 기관 및 식품 안전 관련 정보 제공

어린이 카스미가세티(일본 주요 행정기관 밀집 지역) 투어의 날은 교육부, 문화부, 스포츠, 과학기술부 및 기타 부처가 협력해 매년 개최하며, 어린이들이 여름방학 동안 기관 견학 및 실습 활동을 통해 사회에 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한 행사임.

2022년 어린이 카스미가세티 투어의 날을 맞아 식품안전위원회 개요, 추천 식품 안전 관련 영상, 어린이 식품안전정보 키즈박스, 키즈 박스 외 자체 제작 자료를 묶어 소개함.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세균성 식중독 강의 영상 게시

2014년 7월에 당시 FSC 위원장이 강의한 세균성 식중독의 주요 특징과 대책에 대한 영상을 게시함. 식중독 미생물의 성질, 살균 방법과 리스크 평가와의 관계 등을 설명하는 내용임.

다음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801-220805)
이전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718-22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