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718-220722)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718-220722)
작성자 백주석 조회수 763 등록일 2022-08-05 17:31:27
분류 국외 출처 위해정보팀
첨부파일
해외  2022.7.18. ~ 7.22.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세계
보건기구
(WHO)
■ 식품안전당국 네트워크 2분기 활동 내역 발표

WHO 국제 식품안전당국 네트워크(INFOSAN)의 2022년도 2분기 활동 요약본을 게시함. INFOSAN 사무국은 2분기에 106개 WHO 회원국 및 회원국 영토와 연관된 식품안전사고 46건에 대응하였음.
구체적으로 리스테리아, 살모넬라, 노로바이러스, A형 간염 등 생물학적 위험 사고 22건, 미표기 알러지원/성분 관련 사고가 17건, 아플라톡신, 클로피리포스 등 화학적 위험이 5건이었으며 금속, 플라스틱 같은 물리적 위험이 2건이었음.
다발 식품은 스낵, 디저트, 기타 식품 11건, 생선 및 기타 해산물 7건, 혼합 식품 5건, 향신료 및 조미료 5건, 견과류 및 지방종자 4건, 과일 및 관련 식품 3건, 채소 및 관련 식품 3건 등이었음.
이외에 세계 식품 안전의 날 기념 행사, 식품안전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 정보 교환 등에 관한 지역 워크숍 및 웨비나를 개최하였음.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미 IIHS, 차량 안전벨트 착용 알람 테스트 신규 도입

안전벨트가 생명을 구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아직도 안전벨트 미체결 운전자와 승객이 교통사고 사망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함.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는 3월에 차량의 안전벨트 착용 알람 테스트를 새로 도입함. SUV 차량 26대를 평가한 결과, 단 2대만이 양호 평가를, 픽업트럭 10대를 평가한 결과, 1대만 양호 평가를 받았음.
미국 충돌사고 통계에 따르면 픽업트럭 운전자 및 승객은 다른 유형의 차량보다 안전벨트 체결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드러남. IIHS는 픽업트럭에 효과가 나은 알람을 설치하면 안전벨트 착용을 34% 증대시킬 수 있으며, 연간 1,500건의 사망건을 예방할 수 있다고 분석함.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셀프태닝제품 안전성 정보 제공

자외선이 위험하다는 인식과 함께 자외선을 쬐지 않고 피부색을 짙게 만들 수 있는 셀프태닝제품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 셀프태닝 제품은 단순한 메이크업이 아니라 마이야르 반응이라 불리는 화학적 과정을 통해 피부 상층의 단백질과 반응해 멜라노이드라 불리는 갈색 물질을 만들어내는 성분을 함유함.
안전성에 관하여 ▲ 셀프태닝제품 대부분은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DHA)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함. DHA는 피부의 유리기(*세포를 손상시켜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는 활성 산소)를 증가시키며, 주름과 피부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의견과 DHA는 피부 상단에, 반응하며 피부 노화는 상층이 아닌 심층에 과도한 유리기가 형성될 경우 발생한다는 의견이 상반됨. ▲ 한편 스프레이 제품은 흡입이 우려되며 반복 흡입할수록 세포 손상이 심해지며 천식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 태닝 스프레이를 사용할 경우 마스크를 쓰고, 얼굴에 뿌리는 것을 피해야 함. 얼굴에는 로션이나 액상 제품을 쓸 것을 제안함. ▲ 셀프태닝제품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 전에 소량을 발라 발진이 생기지 않는지 테스트해봐야 함. ▲ 유지 시간은 제품 사용설명을 지키는 것이 가장 좋지만, 제품 대부분이 씻어내지 않고 사용하는 제품이라 바르고 오래 둔다고 해서 위험하지는 않음.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타라 가루 함유 식품 섭취 중단 권고

타라 가루는 500명 이상의 피해자가 보고된 French Lentil and Leek Crumbles frozen 제품의 원인으로 지목됨. 컨슈머리포트는 추가 정보가 발표되기까지 소비자에게 타라 가루라 불리는 첨가제를 함유한 식품의 섭취를 중단하도록 권장함.
타라 가루는 남아프리카에 흔한 타라 나무의 종자로 제조함. 식품에 흔하게 쓰진 않으며 같은 식물에서 제조하는 다른 성분인 타라 검이 아이스크림 같은 식품에 증점제 및 안정제로 더 흔하게 사용됨.
소비자는 열, 피로, 구토, 설사, 간수치 상승 등의 증상을 겪었으며, 최소 25명은 쓸개를 제거해야 했음. 해당 업체는 제품을 리콜했으며 FDA는 원인을 조사 중임.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휴가철 숙소 안전 주의보 발표

CPSC는 소비자에게 휴가철에 빌린 숙소에 머무를 경우 안전 사항을 확인하라고 당부함. 대여 계약서를 작성하기 전에 연기 및 일산화탄소 경보기와 소화기가 최소 1대는 있는지 확인해야 함. 수영장과 주거용 엘리베이터가 있는 경우 특히 어린이 안전에 유의해야 함. 화재 안전, 수영장 안전, 가구·TV 넘어짐 안전, 영유아 수면 안전, 중독사고 및 블라이드줄 안전 관련 유의사항을 제공함.

미국
식품의약국
(FDA)

■ 식품 접촉용 불소화 폴리에틸렌 관련 정보 요청

FDA는 식품 접촉용 불소화 폴리에틸렌에 관한 정보 요구를 발표함. 불소화 폴리에틸렌은 과불화화합물(PFAS)을 생성시킴. 승인한 식품 접촉용 물질이 안전한지 보장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식품 접촉용 불소화 폴리에틸렌의 현재 과학적 데이터 및 정보, 해당 제품 사용으로 인한 소비자 식이노출, 불소화 폴리에틸렌 식품 용기로부터 용출될 수 있는 물질에 관한 안전 정보를 요구하는 것임.

미국
식품의약국
(FDA)

■ 한국산 팽이버섯, 리스테리아균 오염 우려로 물리적 검사 없이 수입 보류 허용하는 수입 경보 발령

FDA는 리스테리아균 오염 우려로 수입부서가 물리적 검사 없이 한국산 팽이버섯의 수입을 보류할 수 있게 하는 수입 경보(IA #25-21)를 발표함. FDA는 미국에서 위반 가능성이 있는 제품이 유통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수입 경보를 발령하고 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 위험 수준으로 UV-C 파장 방출하는 자외선 살균봉 제품 사용 금지 주의보 발표

FDA는 안전하지 않은 수준의 UV-C 파장을 방출하는 8개 자외선 살균봉 제품의 사용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해당 제품은 사용자 및 인근의 사람에게 안전하지 않은 수준의 UV-C 파장을 노출시켜 피부 및 안구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살균용으로 사용하면 안 됨.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온라인 판매 소형 거북으로 인해 여러 주에서 살모넬라증 감염 환자 발생

CDC는 11개주에서 15명이 감염된 살모넬라증 발병 사고를 조사하고 있음. 5명이 입원치료를 받았고, 사망자는 없었음. 피해자 다수는 어린이었으며, 실제 피해자는 더 많을 수 있음. 환자 인터뷰, 실험실 데이터, 구매 정보 분석 결과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등딱지가 4인치 이하인) 소형 거북이 원인으로 밝혀짐. 미국 연방법은 소형 거북을 반려동물로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음. 소비자는 등딱지가 4인치 이상인 거북이만 구입하고 5세 미만 어린이, 65세 이상 고령자, 면역저하자가 있는 가정에는 거북이를 반려동물로 권장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포함된 소비자 유의사항을 안내함.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속도위반 공공 교육 캠페인 전개

NHTSA는 7.20.~8.14. 기간에 교통사고 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가장 위험한 운전 습관인 속도 위반 관련 공공 교육 캠페인(‘speeding wrecks lives’)에 착수함. 속도 위반 관련 사망과 가장 연관성이 높은 18~44세 운전자를 타겟으로, 영어 및 스페인어로 TV, 라디오, 디지털 플랫폼 광고를 실시하게 됨.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2022년식 캔암 라이커 주행 금지 주의보 발표

NHTSA는 리콜한 2022년식 캔암 라이커의 주행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해당 차량은 갑자기 핸들 스템 볼트가 파손될 수 있어 조향을 제어하지 못하며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 리콜 수리를 받기 전까지 차량 운행을 중단하도록 강력히 권고함.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스마트 로봇, 해킹 결함 발견돼 보안 업데이트 실시

Enabot Ebo Air 스마트 로봇은 가정에서 사람이나 반려동물을 즐겁게 해주는 역할을 함. 해당 제품은 해킹 결함이 발견돼 해커가 로봇을 움직이고,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영상을 녹화하고 마이크를 통해 말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Which? 측이 업체에 해당 사실을 알린 결과, 업체는 매우 긍정적으로 취약점을 수정하겠다고 답변했음. 해당 제품을 소지하고 있을 경우, 애플리케이션과 기기 업데이트를 실시해야 함.
Which?는 이와 같은 사례에서 보듯 현재는 스마트 제품이 기본적인 보안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는 법적 요건이 없어 제품 보안법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음.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 내분비교란 의심되는 6종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 평가 목적 안전 정보 수집

OPSS는 내분비교란 부작용이 의심되는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함. 2022.9.30.까지 프로필파라벤(CAS 94-13-3), 레조르시놀(CAS 108-46-3), 벤조페논(CAS-119-61-9), 벤질 살리실레이트(CAS 118-58-1), 제니스테인(CAS 446-72-0), 다이드제인(CAS 486-66-8) 성분의 안전 평가 관련 과학 정보를 수집하고 있음.

영국
의약품
규제당국
(MHRA)

■ 오퍼레이션 판게아 활동 참가해 불법 거래 의약품 압수

MHRA는 6월 23~30일 인터폴이 주관하는 국제 조치 활동‘오퍼레이션 판게아(Operation Pangea)’의 일환으로 불법 거래 의약품 및 의료기기 28만 5천개 이상을 압수함. 압수한 의약품에는 항우울제, 발기부전제, 진통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체중감량제 등이 있었음. 또 영국에서 의약품을 불법 공급하는 48개 SNS 계정을 차단하고, 2명의 용의자를 체포했음.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오퍼레이션 판게아 참여 결과 및 온라인 건강제품 구입 주의보 발표

캐나다 보건부는 오퍼레이션 판게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 건강제품 구입 주의보를 발표함.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의약품, 천연건강제품, 의료기기 등의 건강제품은 캐나다에서 판매 승인을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 건강에 해로울 수 있음. 따라서 위험한 웹사이트와 제품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함.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을 제공함.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식품보조제 관련 신규 규정 발표

캐나다 보건부는 식품보조제 관련 신규 규정을 발표함. 연구에 의하면 식품보조제에 첨가하는 성분이 유아나 임산부 등 취약층이 섭취하거나 일반인이 과다 섭취할 경우 유해할 수 있다고 함.
새로운 규정은 모든 식품보조제에 표준화된 성분 정보표를 표시해 각 성분의 첨가량을 알 수 있도록 함. 또한, 특정 성분을 함유하는 식품보조제는 주의사항과 복용지시법을 표시해야 함. 규정은 이 외에 엄격한 성분 제한 및 이용약관 부과, 성분 첨가 가능 식품 종류 제한, 식품보조제를 식용 대마 생산용 성분으로 사용 금지 등의 조항을 포함함.

캐나다
교통국
(Transport
Canada)

■ 전국익사방지주간 통해 익사 예방 인식 제고

7.17.~23.은 전국익사방지주간으로 정해 익사 사고에 관한 인식을 제고하고 있음. 익사는 60세 미만 캐나다인의 비의도적 사망 원인 중 3위를 차지함. 매년 캐나다인 400명 이상이 예방 가능한 사고로 익사하며, 약 1/4은 레저용 배와 연관됨. 사망자 80% 이상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았음. 대부분의 익사사고는 구명조끼 착용 등 신속하고 간단하며 효과적인 안전 조치를 통해 예방할 수 있음.

싱가폴
보건과학청
(HSA)

■ 규정 준수 건강 식품보조제 및 의약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HSA는 안전 및 품질 표준을 준수하는 건강 식품보조제 및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업체 자율 통보 이니셔티브를 도입함. 2022.8.1.부터 비타민, 미네랄 보조제, 또 체중감량제, 진통제, 남성 성기능 개선제 등 불순물(라벨 미표기 처방약 성분 등) 함유 위험이 높은 제품 같이 흔하게 구입하는 제품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됨. 소비자는 제품 구입 시 해당 정보를 참고할 수 있으며 HSA도 안전 또는 품질 이슈가 있을 때 제품 추적과 후속조치를 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음.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에틸렌옥사이드 검출 가능성 있는 컵라면 섭취 금지 주의보 발표

CFS는 일본산 컵라면 Acecook premium golden salt ramen이 살충제인 에틸렌옥사이드를 함유할 가능성이 있어 섭취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대만식품의약국이 자국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에틸렌옥사이드가 발견되었다는 정보를 입수해 조치한 결과임. 해당 제품은 리콜 조치함.

 일본
소비자청
(CAA)

■ 유아 추락사고 주의보 발표

소비자청은 유아 추락사고 주의보를 발표함. 추락사고는 의료기관에서 소비자청에 접수한 사고 정보 중 가장 입원 치료를 많이 받는 사고 유형이며, 약 60%가 머리 부상을 입었음.
어린이 추락사고는 순식간에 발생하므로 심각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린이 추락사고의 특성을 알고 사전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함. ▲ 발달 단계에 따라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와 상황이 바뀜 ▲ 몸집이 작은 아이의 경우 몸의 크기에 비해 머리가 크고 무게 중심 위치가 높아 머리로 떨어지기 쉬움 ▲ 예상 못한 장소에서도 위로 올라가고 다양한 방법으로 놀려고 함.
이 외에 놀이터, 가구, 베이비캐리어, 계단, 창문 및 베란다 등 장소 및 물품 특성에 따른 주의사항과 어린이 제품 구입 시 유의사항을 안내함.

 일본
소비자청
(CAA)

■ 익사 사고 주의보 발표

매년 7월 25일은 유엔이 정한 세계 익사 예방의 날임. 일본후생노동성의 인구통계조사에 따르면 0~1세 연령은 욕조에서, 5세 이상은 자연수에서 익사가 가장 흔하게 발생함. 가정에서 어린이 수돗물 사고와 바다·강·수영장 등에서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을 안내함.

일본
국민생활
센터
(NCAC)

■ 목졸림 위험 있는 유아 낮잠매트 제품 테스트 결과 발표

5개월 유아를 낮잠 매트에 눕혀 재웠는데 매트 끈이 유아의 목에 얽혀 있었다며 소비자가 제품 테스트를 의뢰해 실시한 결과를 발표함.
유아용 낮잠 매트로 판매하는 제품 중 보관용 끈이 있는 3개 브랜드 제품의 끈 길이를 조사한 결과 4개월된 아기와 동등한 더미 인형의 목 둘레길이 23cm 보다 긴 43~50cm였음. 모든 브랜드 제품 끈이 유아의 목을 감쌀 수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제품의 표시 내용을 확인했을 때 주의사항이 표시되지 않았음.
소비자는 끈이 부착된 매트를 사용할 때 끈의 길이에 따라 유아의 목을 조를 수 있으므로, 목을 감싸지 않는 길이로 끈을 묶은 후에 사용하는 조치를 취해야 함.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달걀 식품 안전 관련 어린이 대상 정보 제공

어린이 식품 안전 정보, 키즈박스 <계란을 안전하게 먹으려면> 편을 게시함. 계란에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이 있을 수 있음. 균이 증식하지 않도록 계란은 구입 후 10℃ 이하 냉장고에 보관하고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금이 간 달걀은 살균을 위해 제대로 가열해서 되도록 빨리 먹어야 함. 관련 정보와 주의사항을 제공함.

 
다음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20725-220729)
이전글 유럽소비자센터 네덜란드지부, “암스테르담 공항에서 위탁 수하물 지연이나 분실 피해를 입었다면 이렇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