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828-230901)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828-230901)
작성자 조해령 조회수 1061 등록일 2023-09-05 14:32:51
분류 국외 출처 위해정보팀
첨부파일
해외  2023.8.28. ~ 9.1.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소비자연맹
(Consumer
Reports)
■ 구매하지 말아야 할 5종 육아용품 소개

컨슈머 리포트 안전 전문가들이 사고 보고서와 보호자 리뷰를 확인한 결과, 보호자들이 구입하지 않아야 하는 5가지 육아용품 정보를 안내함.
소비자 대부분이 미국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안전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제 신유형 제품의 경우 의무 안전 표준이 없기도 하고, 제조업체가 리콜에 합의하지 않아 위해 제품이 유통되는 경우도 있음. 따라서 소비자는 리뷰 확인, 관련 기관 사고 정보 조사 등 제품의 안전성에 관한 정보를 스스로 확인해야 함.
(1) 신생아 라운저 : 수면용으로 사용할 경우 쿠션 부분에 질식 위험이 있음. CPSC가 인클라이너와 인베드 슬리퍼를 금지한 이후, 해당 제품을 라운저로 마케팅해 판매하는 사례가 발견되기도 함.
(2) Cosco Jump, Spin & Play Activity Centers 점퍼루 제품 : 영유아 낙상 관련 부정적 리뷰 수십 건 및 사고 제보를 다수 접수한 후 업체에 리콜을 요청했으나 리콜 미실시 상태임.
(3) Otteroo 목튜브 : 아기 머리가 갑자기 빠지는 사고 수십 건 접수. 수십 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으며 1명은 익사함. 업체는 리콜을 거부하며 제품을 계속 판매 중임.
(4) 무게를 추가한 유아 담요, 스와들, 침낭 등 : 유행하는 제품이지만 아기의 호흡을 방해하며 수면 중 안전하지 않은 자세를 취했을 때 움직이기 어렵게 만듦.
(5) 수정토 (워터 비즈) : 감각 완구로 파는 경우가 있음. 장폐색 또는 폐 손상 위험이 있음.
미국
소비자연맹
(Consumer
Reports)

■ 기아, 트렁크 잠금장치 균열되는 리오 및 옵티마 차량 리콜

기아는 트렁크 잠금장치에 균열이 발생하는 2016~18년식 리오 및 옵티마 차량 31만 9천여 대에 대해 리콜을 발표함. 해당 결함으로 트렁크 내부 손잡이로 트렁크가 안에서 열리지 않을 수 있음.
대상 차량은 2016~17년식 리오, 2016~18년식 옵티마, 2017~18년식 옵티마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임.
제조업체는 2023.1.에 이 문제를 인지했으며 이후 트렁크 긴급 열림 레버로 트렁크가 열리지 않은 사고 정보 32건을 입수함. 이 결함과 관련된 충돌사고 또는 부상은 없었음. 업체는 무상으로 트렁크 래치 베이스 어셈블리를 교체해줄 예정이며, 기수리 차량에 대해서는 수리비를 배상할 것임.

미국
소비자연맹
(Consumer
Reports)


- CPSC 리콜

■ 점화손잡이 튜브 파손으로 가스 누설 및 화재 위험 있는 Frigidaire 가스레인지 리콜

Frigidaire 가스레인지(일렉트로눅스 자회사)는 플라스틱 소재 점화 손잡이가 내부 튜브 파손 및 가스 누설로 인한 화재 위험이 있음. 30인치 및 36인치 모델 7만 개 이상이 리콜 대상임. 업체는 사고 63건을 제보받았으며 여기에는 가스 누설로 인한 경미한 부상 1건과 화재 1건이 포함됨.
해당 제품 중 30인치 제품은 이전에 컨슈머 리포트 측에서 시험한 제품으로 당시에는 손잡이 및 손잡이 튜브 균열이나 파손 문제가 없었다고 함. 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는 제품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 업체에 연락해 손잡이를 무상 교체 받을 수 있음.

미국
소비자연맹
(Consumer
Reports)


- Boon 리콜
- iCraves 주의보

■ 리콜 및 주의보 발령된 하이체어 안전 정보 소개

Tomy사는 좌석 분리로 인한 낙상 위험이 있는 Boon Flair 및 Flair Elite 하이체어 제품을 리콜하였으며, CPSC는 끼임 및 낙상, 질식 위험이 있는 iCraves 하이 체어를 대상으로 주의보를 발령함.
Boon Flair 및 Flair Elite 하이 체어는 받침대 고정 볼트가 느슨해지며 좌석이 떨어질 수 있음. 업체는 좌석이 분리된 사고 34건을 제보받았으며, 이로 인해 낙상 24건과 부상(타박상 및 찰과상) 11건이 발생함. 업체는 무상 수리 키트를 제공함.
iCraves 하이 체어는 하이 체어 의무 안전 표준의 성능 요건을 준수하지 않았으며 영유아수면제품규정 및 영유아 안전 수면법의 안전 요건을 준수하지 않음. 해당 제품은 영유아 수면용으로 제품을 마케팅했으며 기울어지는 각도가 10도를 넘음. 판매업체가 CPSC 리콜 요청에 응답하지 않아 CPSC는 소비자에게 제품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 좌석을 프레임에서 분리하고 패드 부분을 자른 다음 모든 부품을 따로 폐기할 것을 당부함.

미국
소비자연맹
(Consumer
Reports)

■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 있는 Ice Cream House 아이스크림 리콜

Real Kosher Ice Cream은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Serve On The Go 아이스크림 및 소르베 6가지 맛 제품을 리콜함. 해당 제품으로 인한 리스테리아균 감염으로 2명이 입원 치료를 받음. 같은 제조 시설을 사용한 Ice Cream House 업체는 아이스크림 및 소르베 제품 100여 개를 리콜하고 있음. 미 식품의약국(FDA)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해당 사고를 조사 중임.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 있는 프랑스산 염소 치즈 사용 금지 주의보 발표

CFS는 프랑스산 염소 치즈 Xavier Palet du berry 제품이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섭취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유럽 RASFF(*식품 및 사료 안전 정보 공유 플랫폼) 정보를 입수해 조치한 결과임.
리스테리아균은 조리 시 쉽게 없어지지만, 냉장 온도에서도 살아남고 증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건강한 사람 대부분은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증상만 겪지만, 신생아, 고령자, 면역저하자, 임산부는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수입업체는 제품 판매를 중단하고 시판분을 회수했으며 리콜에 착수함.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제품 섭취를 금할 것을 당부함.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국산 귀리 쉐이크 제품에서 살모넬라균 검출

CFS는 정규 식품감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온라인에서 구입한 한국산 뉴트리 디데이 다이어트 귀리 쉐이크 제품(한 포 25gx14개입)에서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었다고 발표함. 현재 관련 업체는 제품 판매 중단 및 시판 제품을 회수했으며, 유통업체는 제품 리콜에 착수함. 소비자는 해당 제품을 섭취하지 말아야 함.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2023.7. 식품안전보고서 발표 : 99.8% 부합

2023년 7월 발표한 식품안전보고서에 따르면, 5,400여 개 식품 시료의 미생물·화학물질·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결과, 10개 시료를 제외한 99.8%가 기준에 부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부적합 시료는 ▲ 이산화황이 함유된 냉장 소고기 시료 2종, ▲ 규정 위반 수준의 메틸수은을 함유한 어묵 시료 2종, ▲ 식의약품 규정을 위반한 포장 면두부(bean curd sheet) 및 냉동 디저트, ▲ 리스테리아균 오염이 의심되는 포장 냉장 가재, 무허가 방부제가 검출된 포장 팝콘, 잔류농약이 과다 검출된 파파야, 금속 오염물질이 과다 검출된 가리비임.
CFS는 이와 관련해 판매업체에 검사 결과 통보, 해당 제품의 판매 중단 지시, 식품 출처 추적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함.

일본
소비자청
(CAA)

■ 발전기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 등 재해 관련 안전 주의보 발령

일본 소비자청은 경제산업성(METI),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NITE)와 공동으로 9월 1일 방재의 날을 맞아 정전 시 발전기 사용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중독 및 복구 후 통전 화재 관련 주의보를 발표함. 발전기 사용 시 주의사항 그리고 침수되었다가 복구된 가전 제품이 내부에 습기가 남아있거나 진흙, 염분 등의 이물질이 묻은 상태에서 통전 시 전기회로기판 발화 위험이 있어 합선 및 화재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을 제공하고 있음.

일본
식품안전
위원회
(FSC)

■ 화학물질 독성 평가 데이터베이스 - 농약 정보 평가판 공개

일본 식품안전위원회는 식품건강 영향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보고서를 발간하여 홈페이지에 게시함. 보고서 중 건강 영향 시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화학물질 독성 평가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했으며, 여기에는 유전독성, 독성 조사 결과, 건강 영향 관련 지표(ARfD(급성기준노출량), ADI(1일 허용 섭취량) 등) 정보가 포함됨. 2023.3.에 공개한 식품첨가물 데이터베이스에 이어 금년 말에는 농약 데이터베이스를 공개할 계획이며, 체험판을 선공개함.

다음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904-230908)
이전글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821-2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