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제거래동향

2024년 1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분류, 출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2024년 1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작성자 이주래 조회수 182 등록일 2025-01-03 11:10:48
분류 국외 출처 위해정보팀
첨부파일
해외  2024.12.14. ~ 12.31.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소비자
제품안전위
(CPSC)
■ 액체 연로 난로 안전 경고

CPSC는 소비자에게 에탄올, 알코올 등 기타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난로 제품을 구매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것을 촉구함. 이러한 제품은‘테이블용 화로, 화로 항아리, 미니 벽난로, 실내용 화로, 휴대용 난로’등의 명칭으로 판매되기도 함.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난로는 매우 위험하며‘19년 이후로 미국에서 최소 2명의 사망자, 60건 이상의 부상 사례를 초래함. 이번 CPSC의 소비자 경보는‘FLIKRFIRE테이블탑 벽난로, Colsen 테이블탑 화로’사용중지 권고 및 리콜에 따른 것임. 소비자가 알코올 또는 기타 액체 연료를 개방된 용기나 그릇에 붓고 동일 장소에서 이를 점화해야 하는 방식으로 디자인된 난로는 ASTM F3363-19 안전기준 요구 사항을 위반함.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 바이오에탄올 및 유사한 액체 연료는 섭씨 약 870도 이상의 온도로 연소되고, 1초 이내에 3도 화상을 유발할 수 있음. 개방된 용기에서 액체 연료를 점화하면 통제할 수 없는 불이 발생하거나, 갑작스러운 불꽃이 발생하여 확산될 수 있음. CPSC는 액체 연로 난로 제품이 전자상거래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이 같은 제품을 구매하지 않도록 당부함.
미국
환경
활동그룹
(EWG)

■ 스마트워치·피트니스트래커 PFAS(과불화합물)검출 경고

미국 노트르담 대학교 연구진이 22개 피트니스 트래커와 스마트워치를 분석한 결과 과불화헥사노산(PFHxA)이 가장 높은 수준(16,000ppb)으로 검출되었다고 밝힘. 미국 환경보호청(EPA)는 동 물질이 발달, 혈액 세포, 간, 호르몬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함. PFAS는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혈류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스마트워치나 피트니스트래커를 하루 여러시간 착용할 경우, 지속적 피부 접촉으로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노트르담 대학교 조사 결과 가격이 30달러 이상인 밴드가 PFAS 농도가 보다 높았음. EWG는 소비자들이 밴드를 구매할 때에 제품 라벨을 살펴, 불소탄성체로 제작된 밴드는 피하라고 조언함.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자율주행 시스템 차량 평가 및 감독을 위한 프레임워크 제안

NHTSA는 ADS차량 안전, 투명성 및 평가 프레임워크(a voluntary national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and oversight of certain vehicles equipped with automated driving systems, AV STEP)의 구축을 제안함. 동 프로그램에는 공공 도로에서 ADS 장착 차량을 운영하거나 운영할 계획인 모든 기업과, 동 프로그램 적용면제를 요구하는 기업들도 다함께 참여할 수 있음. ADS 기술 개발의 중요한 현재 시점에서 안전,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동 프로그램을 도입하고자 함. 동 프레임워크가 공개되면 대중은 이에 대한 의견을 제출할 수 있음.

유럽
화학
물질청
(ECHA)

■ CLPR(화학물질 분류,표시 및 포장 규정)개정규정 12.10. 발효

개정된 CLP규정은 화학물질을 보다 정확히 식별, 분류하고 유해성에 대한 소통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번 개정의 주요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음. - 혼합물 및 다성분 물질의 분류 규칙 명확화 - 조화된 분류(harmonized classification)에서 그룹화 강조 - 유해 화학물질의 표시를 보다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규칙 제공 (디지털 라벨 포함) - 분류 및 표시 목록에 제출 및 공개되는 정보에 대한 일부 변경 사항 도입 -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ECHA 또는 유럽식품안전청(EFSA)에 조화된 분류 및 표지 제안서를 준비하도록 요청할 권한 부여 - 리필 스테이션에서의 화학 물질 판매에 대한 규칙 도입 - 유통업자의 독극물 센터 신고 의무 명확화.

영국
휘치
(Which?)

■ 영국 커뮤니케이션청 12.17.에 ‘온라인안전법’ 지침 발표

‘23. 9. 19. 최종 통과된 영국의 온라인 안전법(Online Safety Bill)의 목표는 테크 기업들이 자사의 플랫폼에서 유해 콘텐츠를 예방하고 제거하는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임. 동 법의 규제당국인 커뮤니케이션청(Ofcom)은‘24. 12. 17.에 테크 기업들이 준수해야 할 실천 규범 즉, 지침을 발표함. 테크 기업들은‘25. 3. 17.부터 지침을 준수해야 함.[온라인 안전법 지침 주요내용] - 불법 콘텐츠, 신고 및 불만 처리 업무에 대한 책임을 지는 고위 책임자 임명. - 불법 콘텐츠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더 나은 모더레이션, 쉬운 신고 기능, 내장된 안전 테스트 제공. - 아동을 온라인 위험으로부터 보호, 예를 들어 학대 및 착취로부터 보호. - 여성과 소녀를 온라인 위험으로부터 보호, 괴롭히거나 스토킹하는 사용자를 차단하고 음소거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사기 조직을 위한 신고 채널 생성, 이를 통해 알려진 사기 사건을 신고. - 테러리스트 계정 제거.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전기 자전거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안전 지침 마련

전기자전거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 지침(Statutory Guidelines on Lithium-ion Battery Safety for E-bikes)는 배터리 생산, 수입, 유통 업체를 대상으로 영국 비즈니스 및 무역부 장관이 GPSR제6조제3항(C)에 따라 제정한 것임. 전기 자전거에 사용되는 리튬 배터리가‘안전’하다고 고려되려면‘열폭주’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메커니즘을 포함해야 함. 이러한 메커니즘은 배터리팩의‘에너지관리 시스템’과, 충전 및 방전 시 개별 셀의 안압과 전류 및 온도를 감지하는‘배터리 보호 시스템’을 갖추어야 함. 또한 외부로부터의 손상(고온, 저온, 액체(수분 침입), 마모나 진동으로 인한 충격 포함)으로부터 리튬 배터리를 보호하는 물리적 구조 및 설계를 갖추어야 함. 마지막으로 배터리팩은 사용자가 호환 가능한 충전기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충전 방법 관련 충분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해야 함.
다음글 2025년 1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이전글 2024년 12월 2째주 해외안전정보 동향